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신천의 원한 [Grudge in Sinch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유화
9분류
작품
집필자
홍지석
시기
1966년
제작자
김종섭
정의
<신천의 원한>(190×132㎝, 조선미술박물관)은 김종섭이 1966년에 제작한 유화작품이다.
내용
이 작품은 1950년 10월 황해도 신천에서 일어난 대학살을 모티프로 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신천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을 미군이 주도한 사건으로 본다. 『문학예술대사전(DVD)』(2006)에 따르면 이 작품은 전쟁 초기 신천지역을 점령했던 미군의 살육만행에 분노한 인민대중을 형상한 작품이다. 작가 자신의 회고에 의하면 이 작품은 처음에 “원쑤들의 만행을 폭로하고 미제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나 현지방문 등 제작 과정에서 “비극적인 정황을 혁명적인 것으로 전화시킬 의도에서” 계급적 원수들과 시신 대신 학살현장(저수지의 둑)에서 보복의 일념으로 하나 된 유가족과 인민군대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방향이 바뀌었다. 이렇게 시신과 폐허와 같은 참상을 재현하기보다는 그러한 참상 앞에서 분노와 함께 새 각오를 다지는 인민대중의 형상을 제시하는 방식은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 북한 미술작품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 작품은 1966년 10월에 열린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에 전시되었고 전시장을 찾은 김일성에 의해 <진격의 길에서>, <락동강할아버지>, <남강마을의 녀성들>, <남진하는 길에서> 등과 더불어 극찬을 받았다.
이 그림을 제작한 김종섭은 1937년 평안북도 정주시에서 태어났고 평양미술대학을 졸업했다. 1966년 4월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황해북도위원회 현역미술가로 그 후 조선미술가동맹 도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신천의 원한> 외에 <불굴의 어린 투사 김금순 동지>(1968) 등이 대표작이다.
관련어
김종섭
,
국가미술전람회
관련자료(북)
김종섭, 「유화 <신천의 원한>을 제작하고」, 『조선미술』, 제8호, 1967.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필자미상, 「(불멸의 자욱을 따라) 력사의 그날을 더듬어」, 『조선예술』, 제4호, 199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신천의 원한
이미지명 : 신천의 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