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교예음악 [circus music]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수현
정의
교예(서커스)의 흐름과 기술 동작에 맞게 창작 또는 편곡된 반주음악이다.
내용
교예음악은 교예예술에서 사용하는 음악이다. 북한에서 음악은 교예 형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 수단으로 본다. 교예음악은 작품의 내용을 살리고 재주 형상을 정적으로 돋구어주며 여러 명이 출연하는 작품에서 재주 형상의 통일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규정된다.
평양교예단을 비롯하여 주요 교예단은 가극 공연처럼 교예음악단이 현장에서 공연에 맞추어 직접 연주를 한다.
교예음악은 분류상 대중적인 경음악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 교예배우들이 등장하는 장면, 종목이 끝나는 장면, 긴장감을 고조시킬 때 주로 쓰인다. 교예음악은 원곡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교예의 흐름에 맞게 편곡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교예음악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교예의 내용과 흐름에 맞추어 편곡을 잘하는 것이다.
교예음악은 교예의 종목에 따라 특색이 달라진다. 북한의 교예는 크게 체력교예와 민족교예, 동물교예 등으로 나뉜다. ‘줄타기’와 같은 민족교예 종목에서는 민족적 색채가 짙은 음악을 많이 사용하며, 체력교예 종목에서는 건장한 느낌을 주는 음악을 사용한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물교예 종목에서는 동요적 색채를 가진 음악을 사용한다.
북한에서는 교예음악을 북한음악의 일반적 특성과 같이 가요 명곡에 기초하여 창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영화나 가극의 노래를 소재로 하여 창작하며 편곡을 잘하고 교예음악의 특성을 살리며 교예음악을 작품의 양상에 맞게 하고 악기편성을 특색 있게 하는 것을 중시한다.
관련연구(남) 문화체육부,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계 및 프로그램 연구(문헌자료편)』, 서울: 문화체육부, 1997.
참고자료 김영진, 「교예음악의 특성」, 『조선예술』, 12호, 2005.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29』,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색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