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개선영화관 [Kaeson Cinem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시설
집필자 오양열
시기1987년
정의
평양시 모란봉구역에 있는 북한의 영화관이다.
규모
연건축면적 5,460㎡로, 8백석 1개관과 2백석 2개관이 있다.
내용
개선영화관은 3층 건물로 구성되어있으며, 정면에는 현관홀을 두고 그 양 옆으로 계단을 두어 내부공간을 넓게 하였다. 외관의 조경은 건물 바로 앞의 개선문과 김일성경기장, 개선청년공원을 가까이하고 있어 주변의 고층건물들과 모란봉의 아름다운 풍치와 잘 어울리도록 구성되었다. 개선영화관의 2백석 관람홀에서는 입체영화도 상영할 수 있다.
북한은 영화가 호소력이 강한 속성을 지닌 ‘직관예술’로서 광범위한 대중을 대상으로 한 각급 교양과 선전선동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이의 보급기지인 영화관을 매우 중시한다. 즉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사상문화교양장소’로, 주민들을 혁명화·노동계급화·공산주의화하기 위한 혁명교양, 계급교양,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교양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화의 보급은 문화성 영화총국 영화보급지도처가 총괄하고 있으며, 그 산하에 집행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주요 도시에는 통상 3~4개소, 지방 소도시에는 1개소의 영화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영화 상영은 영화보급요원인 영화보급일꾼을 동원하여 영화관, 공장·기업소·협동농장 영사시설, 시·군 문화회관, 이동영사대, 도선전대, 극장, 소년회관, 야외영화관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극·연극·교예를 공연하는 복합문예시설, 인민문화궁전, 국제문화회관, 고려호텔 등, 대부분의 문화시설에도 영화상영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정책적 차원에서 보급하는 혁명영화의 경우 소속단체별로 관람이 의무화되고, 관람 후에는 ‘영화주인공 따라 배우기’를 위한 ‘영화실효투쟁’이란 것을 하게 된다.
관련연구(남) 『북한 문화·체육시설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이춘길 외, 『북한의 영화산업 현황과 영화진흥정책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연구원, 1997.
참고자료 『북한 문화·체육시설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이춘길 외, 『북한의 영화산업 현황과 영화진흥정책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연구원, 1997.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이미지

개선영화관1

이미지명 : 개선영화관1

개선영화관2

이미지명 : 개선영화관2

개선영화관3

이미지명 : 개선영화관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