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과학영화 [science movi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55년
정의
자연의 법칙, 과학과 기술에 대한 지식, 경제관리방법, 문화도덕규범 등을 영화적인 형상수단과 수법으로 보여주는 영화이다.
기원
1955년 〈종자의 선택과 관리〉가 최초의 과학영화로 기록되어 있다.
변천
조선과학교육영화촬영소(조선기록과학영화촬영소의 전신)의 창립 25돌 행사가 1980년 1월 26일 평양대극장에서 개최(『로동신문』, 1980년 1월 27일)되었으므로, 동 촬영소의 기원은 1955년 1월 26일로 추정된다.
조선과학교육영화촬영소는 당시<우리나라 미술>(1976), <클락새>(1977), <동물들의 싸움(2~4편)>(1986), <효성화>(1994), <동명왕과 동명왕릉>(1994) 등의 과학영화를 제작했다.
1996년 조선기록영화촬영소와 조선기록과학영화촬영소로 통합한 이후 제작한 과학영화로는<염소 새끼내우기를 잘하자>(1998), <기초식료품 조선장>(2000), <콤퓨날에 의한 중소형발전소운영>(2001), <신비한 재료 무정형금속>(2006), <전기절약의 새로운 방도>(2007), <쇠동발에 의한 얇은 층채탄 방법>(2007), <유기질복합비료>(2007), <과학상식 제112호: 구제역>(2007), <과학상식 제113호: 새로운 콩음식 연두부>(2007), <지적소유권>(2008), <연어양식>(2008), <조류독감을 미리막자>(2008), <민족음식 썩장과 담뿍장>(2008), <무연탄분말에 의한 착암기정대 생산>(2008), <품질인증>(2009), <지질탐사에서 단층촬영기술의 리용>(2009), <지진(1) : 움직이는 판덩어리>, <지진(2): 지진이 주는 교훈>(2009), <전력주파수를 정격으로 보장하자>(2009), <주파수저하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2010), <왕다래나무를 많이 심자>(2010), <키 낮은 과일나무들: 살구, 추리>(2010), <동해안 두벌농사>(2010), <건강에 좋은 차>(2010), <3세대 이동통신>(2010), <축구인재와 조기교육(1)>(2011), <우렝이와 논벼농사>(2011), <무공해 수산물 생산기술>(2011) 등이 있다.
내용
과학영화는 창작 목적과 형상 대상의 특성으로 인해 내용의 과학성을 본질적 특성으로 하며, 통속성(누구나 알기 쉽고 흥미 있게 보여주는 것) 또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그것을 보여주는 형상방법에 있어서도 이야기를 과학적인 원리 해명과 논증을 기본으로 하여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기록영화적인 방법으로 그대로 재현할 수도 있고, 실험이나 선화(선그림)모형을 가지고 재현할 수도 있으며, 특히 과학영화는 현미경촬영, 고속촬영, 미속촬영, 선화(선그림)미술, 컴퓨터 화상처리 등의 형상수단을 활용한다.
과학영화의 종류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대중과학영화는 근로자들에게 과학기술의 제방원리와 기술지식을 보급하는 영화로, 역사가 가장 오래되고 보편화된 통속적인 형태이다. 학교교육영화는 각급학교 학생들의 교육에 이용하기 위하여 만든 영화로, 주로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에 반영된 내용을 취급한다. 교재영화는 각급 양성기관 학생들과 행정경제부문 일꾼(간부)들의 교육에 이용하기 위하여 만든 영화이다.
과학영화는 근로자들에게 선진적인 과학기술지식을 널리 알려주어 기술혁명, 문화혁명 수행에 이바지하기 위한 영화이다. 과학영화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거나 파악하기 어려운 과학기술적 문제들과 선진적인 생산방법 등을 영화의 풍부한 표현 수단과 수법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생동하게 보여준다. 특히 대중과학영화는 사회의 전반적 문화지식 수준을 높이는데, 그리고 학교교육영화와 교재영화는 강의시간에 배운 지식을 더욱 공고화하고 새로운 지식을 가지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관련어 대중과학영화, 학교교육영화, 과학다큐멘터리
관련자료(북) 「과학아동영화의 주체적 발전의 길에 새겨진 빛나는 업적」, 『조선영화』, 1호, 1995.
「주체적 과학아동영화의 발전을 빛나게 향도한 불멸의 기치」, 『조선영화』, 11호, 1994.
「과학아동영화 발전의 빛나는 년대기」, 『조선영화, 7호, 1992.
「과학교육영화는 농촌기술문화발전의 대중적 교과서」, 『조선예술』, 9호, 1974.
「사회주의애국주의교양과 과학영화」, 『조선예술』, 8호, 1970.
참고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예술단체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이미지

과학영화

이미지명 : 과학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