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광폭영화 [cinemascope; wide-screen fil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60년
정의
화면의 폭이 보통영화(소폭영화)의 화면보다 넓은 영화, 곧 시네마스코프를 말한다. 보통영화(소폭영화)의 화면비는 1:1.37이지만, 광폭영화의 화면비는 1:1.65~1:3.25이다.
기원
1960년에 제작된 <영광스런 우리 조국>(정춘재, 윤득춘, 김영희 공동 연출)은 북한에서 제작된 최초의 천연색 영화이며, 시네마스코프가 도입된 광폭영화이다.
내용
광폭영화는 현실을 자연스럽고 생동하게 보고 폭넓게 인식하기 위해 1950년대(1953년 제작 미국영화 <성의>)에 등장했다.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35mm변형광폭영화(일명 35mm시네마스코프광폭영화)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했던 광폭영화 방식으로, 촬영과 영사 시에 35mm 필름과 특수한 변형광학계를 써서 영사막에 화면비 1:2.35의 화면을 구현한다. 촬영 시에는 변형렌즈(anamorphic lens)로 대상의 폭을 수평으로 1/2로 축소하여 찍고, 영사 시에는 변형렌즈를 이용하여 옆으로 2배 확대하는 방식이다. 준광폭영화(일명 가림식광폭영화)는 35mm 영화필름을 그대로 쓰면서, 화면의 아래 위를 가려줌으로써 화면의 가로세로비를 변화시킨 영화이다. 필름흐름이 수평이 된 영화(일명 비스타비전광폭영화)는 35mm 영화필름을 그대로 쓰면서 촬영기에서 필름 흐름이 수직으로가 아니라 수평으로 되게 하여 필요한 너비의 화면규격을 얻는 영화이다.
세 개의 35mm 영화필름을 동시에 이용하는 영화(일명 시네라마영화)는 35mm 영화필름을 사용하는 3개의 촬영기로 촬영하고 얻어진 3개의 필름을 3개의 영사기로 비추는 영화이다.
넓은 필름을 이용하는 광폭영화는 65mm나 70mm 영화필름을 쓰는 영화로, 여러 개의 소리띠(사운드 트랙)가 화면필름에 있어 영사와 함께 입체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원형전경영화(일명 원주영화)는 11개의 35mm 영화촬영기로 하나의 원형(圓形) 묶음을 형성하여 360도 범위의 주위 대상물을 동시에 촬영한 것을, 원형으로 설치된 11개의 영사기로 동시에 영사하는 영화이다.
북한은 시네마스코프 영화가 미국에서 최초로 제작(1953년)된지 7년 후인 1960년에 광폭영화를 제작했다. 이는 남한 영화계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인 홍성기 감독의〈춘향전〉(1961)보다 1년 앞선 것으로, 북한의 영화 중시정책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시네마스코프는 군사적 목적으로 제조된 와이드 앵글 렌즈인 아나머픽 렌즈(anamorphic lens)를 프랑스의 앙리 클레티앙이 최초로 영화에 도입한 것으로, 1950년대 텔레비전에 압도당한 미국 영화계가 영화산업의 부활을 위해 영화의 컬러화와 함께 이를 영화 제작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즉 1953년 미국의 폭스스튜디오가 최초의 컬러 영화이자 시네마스코프 영화인〈성의(The Robe)〉(헨리 코스터 감독)를 제작한다. 이후 서구에서는 warnerscope, techniscope, panascope, superscope, vistavision 등 다양한 포맷의 영화들이 출현하게 된다.
광폭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을 애너머픽렌즈를 일반렌즈 전면(앞)에 장착하여 촬영하고 영사하는 방식을 취한다. 애너머픽렌즈는 세로에 비해 가로를 압축한 모양의 왜곡된 화상을 필름에 담는 성질을 지녔는데, 화상비율은 세로 1에 대하여 가로 2.35이며, 35mm 표준규격필름 비율 1:1.33과 비교하여 가로의 나비가 훨씬 크다. 영사방식은 영화를 찍을 때 사용한 애너머픽렌즈를 영사기렌즈 전면에 다시 장착, 압축된 화상을 원래의 정상적인 화상으로 복원시켜 l:2.35의 비율로 스크린에 비추게 된다.
관련어 35mm변형광폭영화, 가림식광폭영화, 비스타비전, 시네라마, 원주영화, 시네마스코프
대응어 소폭영화, 보통영화
관련자료(북) 「광폭영화의 시대는 끝났는가」, 『조선예술』, 1호, 2000.
「광폭영화는 왜 사라졌는가」, 『조선영화』, 12호, 1992.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