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곰춤 [Bear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이정우
정의
몰이군춤, 호랑이잡이춤 등과 함께 수렵활동 과정에서 창조된 대표적인 수렵관련 민속무용이다.
내용
<곰춤>은 평안도 산간지대(현재 자강도 포함)에서 백성들이 널리 추던 민속무용이다. 이 춤은 곰을 사냥하는 수렵활동 과정에서 창조되어, 춤꾼들 속에서 널리 추어지면서 다듬어지고 완성되었다.
춤의 첫 부분은 곰이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헤매는 모습을 형상화한 곰춤 장면으로 시작된다. 여기서 특징적인 춤동작은 춤꾼들이 곰처럼 두 팔을 엉거주춤 쳐들고 뚜벅뚜벅 걷는 동작인데 곰이 땅을 밟을 때처럼 투박하게 통발로 내짚는 동작이다. 춤의 다음 부분은 사냥꾼들이 곰을 잡았을 때의 기쁨을 표시하는 춤 장면이다. 여기에서 특징적인 동작은 손바닥으로 가슴과 머리, 이마와 무릎, 팔꿈치, 발바닥까지 힘 있게 치며 주위에 있는 나무, 바위벽 등을 닥치는 대로 치는 동작이다. 특히 사냥의 기쁨이 고조되었을 때, 곰이 머리를 땅바닥에 곧추 박고 거꾸로 서서 두발을 장단에 맞추어 휘젓는 동작은 덫에 걸려 허우적거리는 곰의 모습을 생동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발굴 당시의 자료에 의하면 곰춤의 의상은 남자 춤꾼들이 털가죽 모자를 쓰고 사슴, 곰가죽 등거리를 입었으며 어깨에는 흰 수건을 메고 허리띠를 차고, 가죽으로 만든 행전을 두르고 소가죽으로 만든 도로기신을 신었다고 한다. 춤꾼들은 손에 굵은 창을 들고 입에서 흰 김을 내뿜으며 ‘욱욱’하면서 춤을 춘다.
<곰춤>은 남성들의 춤으로서 사냥꾼들의 용감성과 호탕한 성격을 독특한 춤가락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남성무용의 춤가락을 풍부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평가된다.
관련연구(남) 전영선, 『북한 민족문화 정책의 이론과 현장』, 서울: 역락, 2005.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전자사전프로그람 《조선대백과사전》』, 평양: 삼일포정보센터, 2005.
『조선대백과사전1-29, 색인,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조선대백과사전1-29, 색인,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참고자료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 『조선의 민속전통6』,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5.
한국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