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농악무 [Peasant Dance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채원
정의
흥겨운 농악에 맞춰 추는 민속무용이다.
내용
농악무는 연중놀이의 하나로 주로 농업과 관련이 깊으며, 낙천적이고 향토색 짙은 흥겨운 춤으로 힘겨운 노동의 피로와 시름을 달래곤 했다.
농악무의 시초는 고조선, 고구려 시기의 영고, 무천, 동맹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미 고대부터 시작된 농악무는 다른 무용과 구별되는 고유한 격식을 갖추면서 발전했다.
농악무에서는 일정한 배역이 있으며 크게는 잡이와 잡색으로 대별된다. 잡이는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이며 상모놀이, 법고놀이, 연풍대 놀이, 설 장고춤 등으로 연희를 구성한다. 잡색은 탈을 쓰고 잡이의 뒤를 따르며 춤을 추는 뒷패를 말하며, 주로 할미 춤, 양반춤, 각시 춤, 총쟁이 춤(대포수) 등의 역할을 분담하여 춤을 춘다.
농악무에서의 복식은 소매에는 황색, 흰색, 검은색의 끝동이 달린 붉은 마고자를 입고 허리띠를 매고 여러 색깔의 명주천 세 폭씩을 등 뒤에 매달아 늘어뜨리고 있다. 춤 출때나 뛰거나 회전 동작에서 등 뒤에 단 천이 허공에 나부끼며 아름다운 모양을 그려낸다. 머리에는 색깔 있는 수건을 쓰고 그 위에 상모를 단 전립을 쓴다. 전립은 잡이들이 모두 똑같이 쓰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는 쇠잡이만 쓰고 나머지 잡이들은 고깔을 쓰기도 한다.
잡색은 각각의 역할에 맞는 특색 있는 탈과 복식을 갖추고 있다.
농악무에서의 춤 동작과 기교를 보면, 남성의 춤이자 놀이였던 만큼 호탕하고 힘이 넘치는 특징을 지닌다. 상모 돌리는 기법은 농악무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기교로서 전립 꼭지에 매단 꿩 털이나 길게 오려 붙인 흰 종이 오리를 바람개비처럼 돌리며 춤을 추는 것이다. 상모에는 줄 상모와 깃 상모가 있다. 줄 상모는 꿩 털이나 종이를 매단 상모이고, 깃 상모는 깃털을 꽃처럼 만든 상모이다. 이를 털 상모 또는 부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쇠잡이들이 쓴다.
상모를 돌리는 기법을 상모짓이라 하고, 열두 발 상모를 여러 모양으로 돌리며 농악 판을 채우기도 한다.
이 춤에서의 주된 기법은 곱디디기, 자반 뛰기, 돌아나가기, 오리걸음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남성 무용의 성격이 강한 만큼 박력 있고 기교 높은 재주를 보여주기도 한다.
농악무는 다양한 놀이로 구성되는데, 우선 마당놀이는 전체성원이 동그란 원을 짓고 그 원을 따라 돌아가면서 갖가지 가락에 맞춰 춤을 펼쳐나가는 것으로, 전체성원이 기세를 올리면서 다 같이 추는 힘찬 군무이다. 다음으로 구성 놀이는 잡이나 잡색들이 개인의 기량을 발휘하거나 잡이나 잡색들이 대열을 이끌고 집체적으로 기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농악놀이는 진 굿, 문잡이, 도둑 잡이 등 일정한 이야깃거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법고놀이와 연풍대 놀이는 농악놀이 가운데 가장 흥겨움이 절정을 이루는 부분이며, 설장고춤은 장고잡이의 즉흥적이며 열정적인 장단 가락으로 놀이 판을 더욱 흥겹게 만들어낸다. 줄당기기 때에는 농악무를 추는 것이 전통적인 풍습이었다. 농악무는 두레와 밀접하며, 경기도와 중부 지대에서는 두레라고도 했다.
이처럼 다양한 놀이 가운데 잡색들에 의한 놀이는 당대의 불합리한 사회생활을 반영하고 있으며,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성격을 띤 탈춤이라 할 수 있다.
농악무는 대표적인 민속무용으로서 남해안, 중부지방에서 성행하였으며, 근세에는 서해안, 동해안 일대 등 농사짓는 곳이라면 거의 다 보급되었다. 그리고 해방 후에는 북한의 문예 방침에 따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시행했다.
예로부터 농악무에는 잡귀와 온갖 불행을 몰아내고 행복을 맞이한다는 ‘지신밟기’가 있었으나, 북한은 이러한 농민들의 세계관을 미신적 요소로 규정하고 오히려 소작농이 대부분이었던 농민들이 사회주의 국가에서 땅의 주인이 된 기쁨과 행복한 생활, 만 풍년을 맞는 기쁨 등을 표현하는 춤으로 새롭게 발전시킨 것이다.
민족적 색채가 짙은 농악무는 국가적인 행사나 집회장에서 군중적인 무용으로 추어지거나 집단체조에 삽입되어 그 장대함을 선보이고 있다.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이미지
농악무
이미지명 : 농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