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그립던 곳에서 [In My Beloved Pla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 작품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정수
시기1954년
제작자강계연극단
정의
1954년 강계연극단이 창조한 작품이다. 전 5막6장으로. 류기홍 작이다. 정전직후 전쟁에 참가하고 제강소로 돌아온 청년들이 보수주의, 기술신비주의를 반대하고 자기 힘으로 복구를 위한 노동자 계급의 투쟁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
주인공 박갑철은 전쟁이 끝나자 제강소로 돌아온다. 제강소로 돌아온 갑철은 어려운 조건에서도 전기로 복구사업을 추진시킨다. 그는 공명심과 보수성이 강한 기사장대리인 안용삼과 공무 직장장 김순업 등의 돌격식 복구계획을 반대하며 전기로 복구의 기한을 단념하고 질을 보장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노동에서 얻은 경험에 기초하여 ‘홀다’ 개조문제를 제기하고 개조 설계안을 작성한다. 안용삼은 이론이 부족하다며, 갑철의 설계안을 반대한다. 그는 노동자들의 창의적인 발상을 받아들이라는 지배인의 지시도 무시하며 오히려 갑철을 공명주의자로, 개인영웅주의자로 몰려고 한다. 그러나 갑철은 안용삼의 방해를 물리치고 대중의 지지로 ‘홀다’를 자신이 설계한대로 개조하고 시운전을 한다. 첫 시운전이 실패하자 안용삼과 공무직장장 등이 그를 공격하지만, 갑철은 실패의 원인을 찾기 위해 분투한다. 이때 당위원장이 실패의 원인은 기술부족이 아닌 잘못된 시공이라고 하면서 그를 격려해준다. 갑철은 당위원회의 격려와 젊은 최기사, 노동자들의 도움으로 마침내 ‘홀다’를 개조하는데 성공한다. 그는 미국의 폭격으로 파괴된 로에서 첫 쇳물을 다시 뽑으며 출강시간을 7시간이나 단축하는 혁신을 일으킨다.
농촌이 배경이며, 전쟁 이후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 박갑철의 영웅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농민계급의 영웅적 투쟁을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련어 류기홍, 강계연극단
관련연구(남) 임옥규·김정수, 「해방기 북한 문학예술의 강령과 창작의 실제: 서사문학과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2권, 2012 .
정낙현, 「북한 희곡의 특성과 구조연구: 1945~1960년대 중반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4.
이상우, 「북한 희곡 50년 그 경향과 특징」, 『상허학보』, 7집, 2001.
관련자료(북) 리 령, 『빛나는 우리예술』, 평양: 조선예술사, 1960.
국립출판사, 『문학예술과 계급성』, 평양: 국립출판사, 1955.
국립출판사, 『생활과 무대』, 평양: 국립출판사, 1960.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