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민요식 가요 [folk song style song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배인교
시기1945년
정의
민요의 선율적 특징을 충분히 살려 종류와 양상에서 민요적 성격을 띠는 가요이다.
용례/관용구
우리 시대에 창작된 민요풍의 노래를 부를 때에는 민요의 독특한 창법을 현대적 미감에 맞게 적용하여 커다란 형상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남영일, 『민족음악의 계승발전』, 1991.
기원
민요식의 가요는 일제시대 신민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변천
일제시대 전통민요를 계승한 신민요가 창작되었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신민요를 계승하여 새롭게 창작된 노래를 민요식의 가요라고 한다.
내용
민요식의 가요는 저서에 따라 민요풍의 가요, 민요풍의 노래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일제시대의 신민요를 계승하여 만들어진 장르이다. 민요풍의 가요는 민요의 선법적 바탕에 기초한 음조로 되어 있으며 민족장단이 뚜렷하고, 부드럽고 우아한 정서적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북한에서 민요식 노래는 선율적으로는 전통적 음악어법에 기초하며, 민족장단을 사용한다. 노래의 반주는 배합관현악으로 하되 민족화성에 대한 고민이 보이며, 민성창법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민요식 노래의 가사는 기존의 민요에서 보이는 노동생활 주제에서 벗어나 당과 김일성, 조국에 대한 송가적인 주제, 당의 혁명전통 주제, 사회주의 농촌생활을 비롯한 인민생활, 인민의 민족생활, 산천경개의 아름다움 등이 담겨진다. 민요식 노래는 1950년대에 만들어진 <그네뛰는 처녀>로부터 2000년대의 <강성부흥아리랑>, <군민아리랑>, <통일돈돌라리> 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의 노래가 창작되고 있다.
남한에서는 신민요 전통이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것에 비해, 북한에서는 전통민요에서 일제시대의 신민요를 거쳐 현대 북한의 민요식 노래가 발전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관련어 신민요, 배합관현악
대응어 가요
동의어 민요풍의 노래, 민요풍 가요
관련연구(남) 배인교, 「북한의 민요식 노래와 민족장단」, 『우리춤연구』, 제12집, 2010.
배인교, 「북한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민요적 전통성」, 『한국음악연구』, 제52집, 2012.
이소영, 「해방 후 남북한의 혼종적 음악하기」, 『한국민요학』, 29집, 2010.
관련자료(북) 리히림 외, 『해방후 조선음악』, 평양: 문예출판사, 1979.
남영일, 『주체음악총서 10: 민족음악의 계승발전』,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예술교육출판사 편, 『조선민족음악전집: 민요풍의 노래편 1』,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200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