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로익화 [Ro Ikhwa]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조소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36년 4월 7일
사망일
미상
출생지
평안남도 남포시 와우도구역 지산동
정의
북한미술계가 기념비미술 부문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하는 조소작가로, 다양한 기념비미술에서 김일성과 김정일 동상을 주로 제작하였다.
용례/관용구
로익화는 많은 부주제조각들의 형상을 창조하여 대기념비들의 사상예술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55년까지 남포 제1인민학교, 남포 제2중학교, 순안 제1중학교를 다녔다. 1955년에 평양미술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였다. 1961년 학부를 졸업하였다.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조각창작단, 중앙미술창작사를 거쳐 만수대창작사 조각창작단에 입단하였다. 그는 제6기부터 제10기까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또한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집행위원, 문예총 중앙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국제조형예술협회 민족미술위원회 집행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로익화는 북한미술계가 기념비미술 부문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하는 조소작가이다.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1967)의 선두에 있는 김일성상을 비롯해 장연군, 원산시, 강계시의 김일성 동상, <만수대대기념비>(1972) 중심의 김일성 동상, <삼지연대기념비>(1979) 중심에 있는 김일성 동상, 만수대 의사당의 김일성 동상(1984) 등이 그의 작품이다. 이처럼 그는 북한의 최고 지도자를 조각으로 형상화했다. 이들의 동상을 만드는데 있어 그가 가장 중요시한 점은 종래의 위인상, 영웅상의 우상화된 도식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북한의 원수를 형상화함에 있어 중요시하는 점은 김일성 동상을 중심으로 대군상조각, 봉화탑, 사적비가 조화와 통일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외에 김일성을 표현하기 위한 의상, 소품의 선택의 변화를 시도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녹이 슬어 동상의 색이 변하지 않도록 구리색으로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주요한 성과를 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도 로익화는 조각 <고난의 행군>(1961), <안중근>(1966), <장군님의 품>(1986)등을 제작하였다. 1990년 2인 전람회를 개최하였다. <대성산혁명렬사릉>의 김철주 반신상(1975)과 <왕재산대기념비>(1975)의 부주제군상 <원호>편과 <전투>편의 여러 인물상도 제작하였다.
로익화는 대기념비 건립사업의 공로를 인정받아 1974년 공훈예술가, 1979년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았으며, 1972년 노력영웅칭호를 수여받았다. 또한 김일성상 수여자이다.
로익화가 제작한 <삼지연대기념비>의 장군 동상은 지금까지의 김일성 동상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북한미술계에서 평가되고 있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
중앙미술창작사
,
만수대창작사
,
대기념비
,
기념비미술
,
공훈예술가
,
인민예술가
,
노력영웅
,
김일성상
동의어
노익화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로익화
로익화2
이미지명 : 로익화
이미지명 : 로익화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