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기념비미술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박계리
정의
‘기념비미술’은 ‘기념비조각’, ‘대기념비미술’로도 불리는 것으로, 대중교양을 목적으로 북한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기념하고자 형상화한 대규모 시각 조형물을 말한다.
용례/관용구
기념비조각에서는 조각이 관중들에게 사상적 내용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강조와 생략, 집약과 함축, 상징과 합성 등의 수법을 적용한다.『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기념비미술은 대규모 시각 조형물로,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혁명 역사 및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는 미술을 말하며 북한 미술을 대표하는 장르이기도 하다. 기념비미술은 작품의 기념비적 내용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집약화되고 함축된 조형적 형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역사적 사실과 사건에 대한 기념비로서의 인식교양적 의의를 갖게 된다.
기념비미술은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야외의 널리 개방된 장소에 건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야가 넓게 트이고 어느 곳에 서서 보더라도 기념비의 형태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흔히 기념비들은 산마루나 언덕 위에 세워지고 있으며 교양 마당을 널리 펼치고 방대한 광장을 조성하기도 한다.
북한의 기념비미술은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김일성상과 기념탑으로 대표되는 중심 조각상과 그 주위에 놓여지는 조각군상으로 나누어진다. 이 조각군상을 부주제 조각군상, 또는 부주제 군상이라고 부른다.
기념탑은 그 조형 특성상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부주제군상은 기념비적 내용을 구체적 생활 속에서 종합적으로 다양하게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기념비미술의 모든 형상 요소들과 주위 환경은 김일성상을 웅장하고 선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전적으로 복종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념비미술을 제작할 때는, 관중의 시점거리, 주위환경과의 관계, 야외광선의 변화를 비롯한 자연조건의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주로 김일성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하는 기념비미술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물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과제를 지니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술가들은 주로 화강석이나 청동을 기본재료로 사용하고 특수한 경우 시멘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북한의 기념비미술은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보다 서사적 묘사방식을 즐겨 사용한다. 북한의 미술가들은 이를 위하여 기념비 내용을 함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의의가 깊은 장면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파고들어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한미술계가 요구하는 상징성과 생활적 구체성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기념비미술은 그 조형물이 시대와 민족에 대한 상징물로서의 의의를 가질 뿐 아니라 작품의 내용을 표현하는 데서도 상징수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상징수법에 의하여 창조된 조형적 형상은 탑의 조형성과 같이, 일반적인 표상과 개념만을 안겨주는 추상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묘사 방법과 상징적 표현 방법을 어떻게 결합시키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삼지연 대기념비>에서 <봉화탑>은 주체사상을, 부주제군상인 <진격의 나팔수>의 조형적 형상은 역사적인 무산지구전투 승리를 상징하도록 하는가하면, 세편의 부조각군상들은 생동하고 구체적인 생활 묘사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념비미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왕재산 대기념비>,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삼지연대기념비>, <무신지구전투승리기념탑> 등이 있다.
관련어 기념비건축, 기념비조각, 기념비회화, 대기념비
관련연구(남) 박계리, 「북한의 기념비미술, 그 조형적 특성은 무엇인가?」, 『미술세계』, 통권 235호, 2004.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