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서정서사시 [lyric-descriptive poet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정서사시
9분류 개념
집필자 이지순
정의
서정서사시는 서사적 묘사와 서정적 토로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이다.
용례/관용구
당의 올바른 문예정책에 의하여 서정서사시가 다른 시문학형태들과 함께 높은 수준에서 발전하고 있다. 서정서사시 ≪항쟁의 려수≫, ≪연풍호반의 새봄≫, ≪장군님의 어머니≫등은 그 실례로 된다. 『문학예술사전 중』, 1991.
기원
조기천의 <땅의 노래>(1946)는 토지개혁을 소재로 한 최초의 서정서사시이다.
내용
해방 이후 북한 문단에는 이전의 식민체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서정서사시는 송가, 서사시 등와 함께 해방 이후에 새롭게 등장한 양식이다.
서정서사시는 서정성의 특징을 갖는다는 점에서 장시와 유사하고, 서사성을 지닌다는 측면에서 서사시와 유사하다. 장시가 시인의 주정토로를 강하게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서정시에 속한다면, 서정서사시는 이야기줄거리를 필수로 지닌다는 점에서 서사시에 속한다. 즉 서정서사시는 시의 본질적 특성인 서정적 묘사방식에 의거하고 있지만 서사성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정시와 구별된다. 또한 서정서사시는 서사시와 마찬가지로 인물들의 성격과 관계, 사건 등을 묘사한 이야기 줄거리를 가지고 있으나 서사시에 비해서는 서사적 성격이 약하고 서정성이 보다 강하다는 점에서 서사시와 구별된다. 길이의 측면에서 서정서사시는 생활 반영의 규모와 용적이 작은 서사시로 규정된다.
『조선문학통사』(1959)는 해방 직후 북한 문학의 특징 중 하나로 소비에트 문학의 영향을 꼽고 있다. 특히 해방 이후 북한 문학의 형식 발전에 도움을 줌으로써 오체르크, 장편서사시 외에 서정서사시가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북한 최초의 서정서사시는 조기천의 <땅의 노래>(1946)이다. 토지개혁을 소재로 한 조기천이 이 시가 발표된 이후에 북한 문단에서는 서정서사시에 대한 논전이 일기도 했다. 리정구의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1950)에 의하면 마야코프스키 시를 가장 많이 연구했고 그것을 계승했던 조기천에 의해서 장편서사시와 함께 서정서사시라는 새로운 장르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리정구의 『시인 조기천론』(1953)에 의하면, ‘서정서사시’는 서정과 서사가 결합된 소련문학의 ‘뽀에마’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 ‘뽀에마’ 형식으로 많은 시를 창작했던 마야코프스키의 시에서 얻어낸 결과로 추정할 수 있다.
해방 이후 등장한 서정서사시는 서정시보다는 인물을 전형적으로 형상화 할 수 있고, 예술적 선전성 측면에서는 서정적 인식 교양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북한의 중요 장르로 정착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관련어 서사시
대응어 서정시
관련연구(남) 김낙현, 「조기천론」, 『어문논집』, 제38권 제3호, 2010.
김낙현, 「장편서사시 『백두산』의 창작토대」, 『어문논집』, 제42권 제4호, 2014.
윤재근, 박상천 공저, 『북한의 현대문학Ⅱ』, 서울: 고려원, 1990.
관련자료(북) 리정구,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 『문학예술』, 2호, 1950.
리정구, 『시인 조기천론』, 평양: 문예총출판사, 195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학원편, 『조선문학통사』,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9.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참고자료 김낙현, 「조기천론」, 『어문논집』, 제38권 제3호, 2010.
김낙현, 「장편서사시 『백두산』의 창작토대」, 『어문논집』, 제42권 제4호, 2014.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