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정관철 [Chong Kwanchol]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6년 11월 23일
사망일1983년 12월 2일
출생지평양시 외성구역 상수리(현 평양시 중구역)
정의
정관철은 김일성의 첫 초상화를 그린 화가이며, 조선화와 유화 모두에 능하였다.
용례/관용구
그는 언제나 현실속에 깊이 들어가 체험을 진지하게 하고 대중의 의견을 허심하게 받아들였으며 자기 작품에 대한 요구성이 높았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32년 종로고등보통학교 3학년 때 수채화 <보통문풍경>으로 전람회에서 입선하였다. 1937년 동경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여 고학으로 1942년 졸업하였다. 졸업 후 조규봉, 김하건, 한상익 등과 황토회를 조직하였다. 1943년부터 해방이 될 때까지 평양공립상업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쳤다. 1949년 2월 북조선미술가동맹대회 동맹위원장이 되어 사망할 때까지 35년여를 조선미술가동맹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49년, 1952년, 1957년, 1973년에 조선미술가동맹 대표단, 조선문학예술총동맹 대표단의 대표로 소련, 중국,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쿠바 등을 방문하였다.
정관철은 많은 습작을 바탕으로 현실에 충실한 그림을 그렸으며, 작품에 대한 의견을 겸손히 받아들여 반영하였다. 해방 전 초기 작품은 사실적인 묘사에 치중되었고 현실에 대한 반영은 미약하였다는 북한 미술계의 평가가 있었다. 그러나 1945년 10월 평양시 군중대회를 위하여 김일성의 첫 초상화를 그리고, 6.25 전쟁 시기 선전화, 유화를 주로 제작하면서 작품의 현실참여적 경향이 뚜렷해졌다. 정관철의 대표작은 1947년 ‘1차문학예술축전’ 미술전람회 1등 수상작인 유화 <모내기>, <보천보의 홰불>(1949 창작, 1955 개작), 1949년 전국문학예술축전 전람회에 출품하여 2등을 수상한 유화 <보천보풍경>3부작, <오직 수령님만을 믿고 따르렵니다>(1982년), <조선아 너를 빛내리> 등이다. <보천보의 홰불>은 보천보 전투 때 김일성과 유격대원들을 포함한 대중들을 그린 작품으로, 중심을 향해 몰려드는 군중들의 원형구도에서 비롯된 운동감, 인물과 공간의 묘사가 입체적이다. 또한 밤하늘의 군청색과 타오르는 불길의 붉은색의 대조는 극적 상황의 분위기를 생동감 있게 전해준다. <조선아 너를 빛내리>는 정관철의 투병생활 중 초안과 습작을 그린 작품으로 아들 정유성이 완성하였다. 소묘에도 뛰어났던 정관철은 김일성의 초상화 이외에도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유화 <보천보풍경>(1949), <만경대>(1960) 등의 풍경화 또한 북한 미술계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조선미술가동맹 위원장으로서 1950~1960년대에 ‘8.15 해방 10주년 국가미술전람회’, ‘공화국창건 10주년 국가미술전람회’,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를 개최하였다. 1970년대 북한의 주체화가 수립될 당시에는 조선화 창작과 교육에 힘썼다. 정관철의 작품은 조선미술박물관, 조선혁명박물관, 조선역사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1986년 12월 조선미술박물관에서 정관철, 정종여 2인전을 개최한 바가 있다.
정관철은 김일성상과 인민상을 수여받았고 미술 부문에서 첫 공훈예술가,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정관철은 김일성의 첫 초상화를 그린 화가로, 조선화, 유화에 모두 능하였다. <보천보의 홰불>로 김일성의 항일활동에 대한 정통성을 부각시켜 권력기반을 굳히는 데 기여함으로서 북한 미술계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어 국가미술전람회, 김일성상, 인민상, 공훈예술가, 인민예술가
관련연구(남)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4), <보천보의 홰불>, 김일성 우상화 신호탄」, 『통일한국』, 340호, 2012.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정관철

이미지명 : 정관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