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치홍 [Pak Chih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조소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24년 6월 11일
사망일1967년 6월 28일
출생지함경남도 원산부 명석동 (현 강원도 원산시 명석동)
정의
박치홍은 대기념비미술 사업에 참여한 조소작가로 회화적인 섬세한 묘사로 다양한 인물상을 조각하였다.
내용
1937년 함흥 제1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고등학교는 중퇴하였다. 1943년 서울의 한 사립 공예미술학원에 들어갔다가 역시 중퇴하였다. 이후 경성산업미술협회의 견습공으로 일하였다. 해방 후 신포의 문학예술총연맹의 신포면 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1947년 평양미술전문학교(현 평양미술대학)에 입학하여 3년제 조각학과를 졸업하였다. 전후 신포수산사업소 지도원, 건설성 중앙건축미술제작소를 거쳐 1957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57년부터 1961년 3월까지 본궁화학공장에 파견되었다. 1961년 3월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소속으로 평양과 청진에서 활동하였다.
박치홍의 초기작품은 조각 <행군>(1955), <어머니>(1957)가 있다. <행군>은 행군하던 자세로 잠시 머리를 뒤로 젖혀 물을 마시는 군인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기울어진 삼각형의 구도에서 안정감과 동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부드러운 질감 처리와 뚜렷한 선처리로 형태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후 노동자의 생활정서를 표현한 <천리마작업반장>(1959)을 조각하였다. 이후 기념비 조각사업에 참여하여 4각 기단과 8각 탑신, 높이 6m의 입상과 기단 좌우와 후면의 부조, 헌시비로 구성된 <인민군 렬사탑>(1959)을 합작하였다. 이 작품에서 박치홍의 회화적인 부조를 엿볼 수 있다. 또 다른 기념비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1967)에서는 부주제 <조국광복의 서광>의 망치를 든 노동자상을 조각하였다. 탑 오른쪽 뒤편에 환조로 제작하였다. 이외에 <천리마동상>(1961)도 함께 작업하였다.
박치홍은 대기념비미술 사업에 참여한 조소작가로 회화적인 섬세한 묘사로 다양한 인물상을 조각하였다. 북한 미술계에서는 세련된 질감 표현, 구도의 설정을 통해 노동자의 생활 정서를 잘 표현하였다고 평가한다.
관련어 대기념비미술, 평양미술대학, 기념비조각, 기념비미술
관련연구(남)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11), 보천보전투 승리기념탑」, 『통일한국』, 347호, 2012.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