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불후의 고전적 명작 ≪피바다≫중에서 혁명가극 ≪피바다≫ 종합총보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9분류
작품
집필자
천현식
시기
1992년 11월 15일
정의
1971년 7월 17일 <피바다>식으로 첫 공연된 혁명가극 〈피바다〉를 1991년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편집 출판한 종합 총보 형태의 단행본이다.
내용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 시기인 1930년 11월 7일에 창작했다고 하는 연극 <피바다>에 기초해서 1969년에 만든 영화 <피바다>를 가극으로 각색한 혁명가극 <피바다>의 1990년대 제작 총보이다. 이 작품은 피바다가극단(공연 후 이름 붙여짐)이 창작한 것으로, 이 악보집은 초기 작품과 달리 수정된 작품에 관한 것이다.
이 책은 해당 작품의 총보가 수록된 악보집으로, 첫 머리에 가극에 대한 간단한 소개 글이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 “이 혁명가극은 영광스러운 항일무장 투쟁시기에 창작된 불후의 고전적 명작 《피바다》를 원작 그대로 옮긴 예술영화 《피바다》에 기준한 것이다.” 다음에는 1장부터, 2장(2경), 3장(2경), 4장, 5장, 6장, 7장의 차례로 이어진다. 그리고 ‘나오는 사람들’과 ‘악기 편성’에 대한 소개가 수록된 이후에 관현악 총보(조명 총보 포함)가 시작된다. 악기 편성의 경우는 초기의 완전한 민족 관현악과 달리 양악기와 민족 악기가 1대 1로 배합된 전면 배합관현악의 형태를 띠고 있다. 혁명가극 〈피바다〉가 초기에는 민족 관현악으로 만들어졌으나 이후에 배합관현악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현악총보는 496쪽까지 이어진다. 다음으로 무용총보가 수록된다. 무용 총보는 성부·피아노총보와 함께 무용보가 합쳐져 있는 형태이다. 그 다음으로는 ‘무대 미술 평면도’가 장면별로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는 ‘무대 미술원화 및 의상, 소도구’가 장면에 따라 컬러 사진으로 제시된다. 뒤이어 ‘무대의상, 소도구’가 마찬가지로 컬러 사진으로 수록되어 있다. 끝에는 출판사항으로 확인된다.
○ 나오는 악기
(전면배합관현악)
고음단소
단소
고음저대
중음저대
저대
훌류트
클라리네트
장새납
대피리
저피리
호른
트롬페트
트롬본
튜바
팀파니
피아티
방고
소고
대고
철금
전기종합악기
옥류금
양금
가야금
소해금
바이올린
중해금
비올라
대해금
첼로
저해금
콘트라바스
참고자료
『불후의 고전적명작 ≪피바다≫중에서: 혁명가극 피바다 종합 총보』,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