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교예배우 [acrobat]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교예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정의
교예(서커스)를 전문으로 하는 배우를 일컫는 용어이다.
내용
교예배우는 교예를 전문으로 하는 배우를 말한다. 북한 사전에는 ‘공중교예, 지상교예, 빙상교예, 수중교예, 동물교예, 요술 등의 교예작품을 무대에서 창조하는 예술인’으로 규정한다. 교예는 일종의 서커스를 발전시킨 북한의 독특한 예술 장르이자 군중의 오락물로 평가된다. 북한 당국은 교예를 예술의 한 장르로 인정하고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교예배우의 인기도 매우 높다. 교예배우는 타고난 신체적 조건을 중심으로 어릴 때 선발하여 평양교예학원에서 양성한다.
북한은 대중적 인기가 있는 교예를 적극 육성하여 오늘날 세계 최고의 수준에 올라 있는데, “오랜 봉건적 질곡 속에서 사회의 최하층으로 버림 받아 온 이른바 <광대>는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와서는 그 이름마저 <곡마단>으로 불리우며 갖은 천대와 멸시를 당하여” 왔으나, 1952년 김일성이 교예단을 조직(1952년 6월 10일 평양교예단 창립)해 줌으로써 “자주적인 인간들의 생활을 반영한 참다운 교예예술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로부터 피눈물로 얼룩진 <곡마>의 력사는 끝나고 로동계급의 예술, 인민을 위한 교예예술의 새 시대가 펼쳐졌다.”고 선전하고 있다(『20세기 문예부흥과 김정일 12(대외예술)』,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문학예술출판사, 2002).
관련어 평양교예학원
관련연구(남)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서울: 고려원, 1990.
정병호·이병옥, 『북한의 공연예술Ⅱ』, 서울: 고려원, 1990.
관련자료(북) 박동식·권용하, 『우리식의 무용, 연극 및 교예음악』,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주문걸·남용진, 『주체적 무용, 교예예술의 새로운 전환 』,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