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룡강기나리 [Ryong Gang Kinari]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성악
9분류 작품
집필자 오양열
시기미상
제작자미상
정의
평안남도 룡강지방을 중심으로 널리 퍼진 서도민요의 하나로, 논밭의 김을 매면서 부르던 서정적인 노래이다.
내용
이 노래의 가사에는 서해바다를 낀 이 지방 백성들의 생활과 소박한 심리정서 상태가 반영되어 있다. 선율은 중추음들을 자유로운 길이로 연장하고 그 사이사이에 독특하고 섬세한 굴림새들을 삽입함으로써 사색적이면서도 호소적인 정서를 더욱 짙게 나타내고 있으며 매우 구성지게 울리는 것이 특징이다. 이 노래는 점차 도시가수들의 가창종목의 하나가 되면서 서정적이며 유흥적인 성격도 일부 나타내게 되였다. 그러나 이 민요에는 서도민요가 지니고 있는 우수한 선율적 특성들이 깊이 체현되어 민족음악 발전에 일정한 기여를 하고 있다.
김일성이 서도민요를 바탕으로 민족음악을 발전시킬 것을 교시함에 따라 북한의 음악극 작품들과 성악, 기악 작품들에는 <룡강기나리>의 선율 음조적 특징들이 구현되어 있다. <룡강기나리>는 유창하고 섬세한 선율적 특성으로 인해 민요가수들의 독창곡으로 많이 불렸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가무작품은 국제무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민속무용 <룡강기나리>도 있고, 룡강지방의 대표적인 김매기, 논매기 노동민요인 <룡강타령>도 있다. 민요 <룡강기나리>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 조개는 잡아 젓절이구
가는 님 모셔 정들여 살자

2. 바람새 좋다구야 돛달지 말구
몽금이 포구에 들렀다가소

동영상

동영상

동영상이름 : 룡강기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