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경제선동 [economic agitation; agitation for increased producti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박태상
정의
경제선동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북한식 선전선동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소위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성과적 수행을 위한 정치사업의 한 형식이다.
용례/관용구
경제선동은 당경제정책관철에로 대중의 혁명적열의를 불러일으키는 정치사업입니다.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4권』, 1987.
기원
김정일의 교시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정일은 경제선동에 대해 “경제선동은 당경제정책 관철에로 대중의 혁명적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정치사업이다”라고 설명했다.
변천
경제선동은 점차적으로 예술소조운동이 강조되면서 ‘예술소조’나 ‘대중노선’이란 용어로 바뀌어가면서 구체성을 띠게 된다. 이를테면, 1960 ~ 1970년대의 ‘천리마운동’이나 1980 ~ 1990년대의 ‘속도전’이나 ‘붉은기 쟁취운동’으로 변화하게 된다. 최근의 김정은 시대의 대표적인 경제선동으로는 ‘마식령 속도’가 있다.
관련어 선전선동, 예술소조, 예술선동대, 예술선동
관련연구(남) 고태우, 「북한연구 : 동원과 돌격 그리고 경제선동의 의미」, 『통일한국』, 29권, 1986.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 편, 『조선대백과사전 2』 ,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1995.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평양:『김정일선집』, 1992.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