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세영 [Pak Sey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시인
9분류
인물
집필자
오태호
출생일
1902년 7월 7일
사망일
1989년 2월 28일
출생지
경기도 고양군
정의
1946년 6월 월북하여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서기장을 역임하면서 1947년 북한의 ‘애국가’를 작사한 시인이다.
용례/관용구
박세영의 시작품들은 예리한 사회적문제의 제기와 높은 시적격조, 랑만적열정으로 특징적이다. 『광명백과사전 6』, 2008.
내용
박세영은 1920년 배재고등보통학교 3학년에 편입하였고, 이후 송영과 함께 습작동인지 성격의 회람지 『새누리』를 내면서 문학에 대한 꿈을 키웠다. 1922년 3월 배재고보 졸업 후 연희전문에 입학하였으나, 곧바로 중퇴하고 중국 상해에 있는 혜령영문전문학교에서 잠시 수학하기도 하였다. 그 후 귀국하여 ‘염군사’의 동인으로 활동하다 카프의 맹원으로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26년부터 1934년까지는 소년 잡지 『별나라』의 책임 편집을 맡아보았다. 카프 맹원으로 발표한 시 <농부의 탄식>, <해빈의 처녀>(1925)로 등단했다. 이후 출간한 시집 『산제비』(1938)는 일상의 현실 감각과 투쟁의 의지를 결합시키면서도 서정적 어조로 시적 형상성을 살려낸 시집이다.
해방 이후 해방기념시집 『횃불』(1946)에 <위원회에 가는 길>, <날러라 붉은 기> 등 의식의 선명성과 체제 선택을 강조하는 시들을 수록하였다. 월북 직후 북조선예술총연맹의 출판국에서 책임자로 일하면서 조선로동당과 인민정권을 노래한 가사 <애국가>(1947), <해 하나, 별 스물>(1947), <빛나는 조국>(1947) 등의 서정시를 발표했다. 이 중 <애국가>는 『조선문학사』에서 ‘인민의 새나라(조국)에 대한 송가’로 소개되고 있다. 또한 이 시기에 <한글 학교 가자우요>, <보고 싶은 어머님>과 같은 동시들을 발표하였는데 이 동시들은 초창기 북한 아동문학사의 성과작으로 평가된다.
6.25 전쟁 중에는 안룡만, 김우철, 조기천 등과 함께 종군작가로 활약했다. 『박세영시선집』(1956)을 낸 이후 1960년대 말까지 김일성의 영도력에 대한 찬양과 인민들의 헌신적 노력을 고무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간삼봉 전투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승리로 이끈 김일성의 영도력을 칭송한 서사시 『밀림의 력사』(1962)가 있다. 1967년에 출간한 『용성 시초』는 노동계급의 영웅적 성격을 일반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1970년대 이후에도 김일성에 대한 우상화를 주제로 한 여러 편의 시들을 발표했는데 <수령님은 우리를 승리로 부르셨네>, <영원히 주체의 태양을 우러러>와 같은 작품이 그것이다.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작가동맹 중앙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등을 지냈다. 1959년에는 공훈작가 칭호와 함께 국기훈장 제2급을 수여받았다.
관련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
공훈작가
관련연구(남)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박세영
박세영2
박세영
이미지명 : 박세영
이미지명 : 박세영2
이미지명 : 박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