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연구(남) |
고정욱, 「<두만강>론-계급적 대립구조에 입각한 등장인물의 각성과 단결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권, 1990. 김강호, 「이기영의 <두만강>론」, 『국어국문학지』, 27권, 1990. 박홍배, 「민촌 소설연구-『두만강』을 중심으로」, 『새얼어문논집』, 5권, 1991. 박홍배, 『이기영의 장편소설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1993. 서영빈, 「남북한 및 조선족 역사소설 비교연구: 『북간도』, 『두만강』, 『눈물 젖은 두만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2006. 신춘호, 「이기영의 『두만강』 연구」, 『중원인문논총』, 15권, 1996 . 신형기, 「민족이야기의 두 양상 - 안수길의 『북간도』와 이기영의 『두만강』 분석」, 『한국학논집』, 32권, 2005. 윤영옥, 「근현대 농민소설에 나타난 농민의 표상과 민족: 조정래의 『아리랑』과 이기영의 『두만강』에 나타난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59권, 2011. 임옥규, 『북한 역사소설의 재인식』, 서울: 역락, 2008. 정호웅, 「‘두만강’론-항일무장투쟁에의 길」, 『창작과 비평』, 17(3)호, 1989. 조진기, 「지리공간의 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두만강을 중심으로」, 『배달말』, 36권, 2005. 한창엽, 「<북간도>와 <두만강>의 대비적 고찰」, 『한국언어문화』, 19호, 1991. |
관련자료(북) |
김헌순,「현대성과 민족적 특성의 원숙한 구현- 장편소설 ≪두만강≫(2부)에 대하여」, 『문학신문』, 1962년10월19일 . 류만 외, 『조선현대문학작품해설(1)』,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리기영, 「나의 창작경험 - ≪두만강≫(2회 11.4)『문학신문』, 1960년 11월 1일 . 리기영, 『두만강』(제1부), 평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6. 리기영, 『리기영 선집11: 두만강 제2부』: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1. 리기영, 『리기영 선집13: 두만강 제3부 상』: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3. 리기영, 『리기영 선집15: 두만강)』: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4. 리상태, 「투쟁과 생활의 거대한 력사적 화폭: 인민상 계관작품 ≪두만강≫에 대하여」, 『문학신문』, 1960년 10월 14일. 리상현, 「시대정신과 리상(장편소설 논의 - 두만강, 설봉산, 조국, 석개울의 새봄, 시련 속에서, 서산대사), 『문학신문』, 1959년 3월 22일 . 안함광, 「장편 『두만강』에 대하여」, 조선작가동맹출판사, 『조선문학』, 5호, 1955. 한효, 「리기영의 생애와 창작-그의 탄생 60주년에 제하여」, 조선작가동맹출판사, 『조선문학』, 5호, 1955. |
참고자료 |
사회과학출판사 편, 『문학대사전 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