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동화시 [poetry of juvenile sto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9분류 개념
집필자 장정희
정의
동화시란 형식 면에서 시적인 짜임새를 가지고 있으면서 동화적인 내용을 담은 시형식을 일컫는다.
기원
동화시의 기원은 『아이들보이』12호(1914)에서 선보인 7․5조 동화요 <남잡이와 저잡이> 등에서 초기 형태를 볼 수 있다. ‘동화시’라는 명칭은 1926년 11월 3일자 『동아일보』에 신고송(申孤松)의 작품 <옵바를 차저서>에서 그 첫 용례를 볼 수 있다.
변천
분단 이후 북한의 동화시는 푸쉬킨, 마르샤크 등 러시아 시인의 동화시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방향으로 성장했으며, 그 선구적 개척자는 백석이다.
내용
동화시는 시의 형식과 동화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는 아동문학 형태로서 산문동시와 다른 점은 그 담겨지는 내용이 줄거리를 가진 동화적 구성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의 최초 동화시집으로 확인되는 것은 1955년 민주청년사에서 나온 사무엘 마르샤크의 동화시집 『동화시집』이다. 이것은 백석이 번역한 것이다. 북한의 초기 아동문학에 수용된 소련 아동문학의 영향관계를 볼 수 있다. 2년 뒤 1957년 백석의 창작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가 출간되었다. 백석은 북한의 동화시 장르 개척과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남한에서는 동화시를 편의상 동시 장르에 포함시키기도 하나 독자적 문학 장르로 구분하기도 한다. 윤석중이 우리나라 최초의 동시집인 『잃어버린 댕기』(1933) 속에 5편의 동화시를 수록하기도 했으나, 1960년대까지 ‘아동문학의 미개척 분야’로 주장될 정도로 창작이 드물었다.
관련어 백석
관련연구(남)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문당, 1983.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국문학논집』, 17호, 2000.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1999.
서동수, 「북한 아동문학의 장르인식과 형상화 원리」, 『동화와 번역』, 9집, 2005.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엘 찌모페예브· 엔 웬그로브,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