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령마루 [Top of a Mountain Pas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임옥규
시기1980년
제작자엄단웅
정의
<령마루>는 북한의 3대혁명인 ‘붉은기쟁취운동’이라는 당 정책을 구현해 나가는 광산 노동자와 과학자의 생활을 형상화한 엄단웅 창작의 장편소설이다.
용례/관용구
장편소설 ≪령마루≫는 3대 혁명의 기발을 높이 들고 사회주의건설의 높은 봉우리를 점령하기 위하여 거세찬 투쟁을 벌리던 력사적시대의 특징을 밝히고 이러한 시대적요구에 맞게 살며 투쟁하는 새형의 인간들의 성격적특질, 정신도덕적풍모를 생동하게 형상한 것으로 해서 독자들에게 깊은감명을 주고있다. 『조선문학』, 1984년 7호
내용
<령마루>는 1980년에 엄단웅에 의해 창작된 장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과학원 연구사 윤혜영이 새로운 중화제에 대한 현지연구를 위해 광산으로 내려오는 것에서 시작한다. 윤혜영은 세 아이를 가진 가정주부로 중앙의 과학연구기관에서 노동보호 연구사업을 맡고 있었으나 현실 속에 뛰어들어 연구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광산으로 내려온다.
광산에 도착하자 혜영은 압축기공 처녀 박금옥, 제대군인 출신의 강희철, 서윤길, 한봉호 등 광산의 젊은이들을 만나고 광산기사장 현우림을 만난다. 혜영은 현우림이 계획과제를 수행하지 못한 신석갱 갱장 박상만을 추궁하고 논의된 문제를 간단명료하게 해결하는 것을 본다. 현우림은 생산이 정상화되지 못한 신석갱의 상황을 파악하고 그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갱 안으로 들어간다. 갱장 박상만은 새해 들어 생산의 침체와 계획의 긴장성이 조성된 것이 현우림의 고집으로 인해 생산목포가 지나치게 높게 세워지고 생산조건 보장 대신 요구만을 높이려는 형식주의적이고 관료주의적인 사업작풍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기술혁명을 하여 종합적 기계화를 실시하는 대신 종래에 하던 낡은 방법으로 생산계획을 하려고 한다. 이에 현우림은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 사업을 총화하고 박상만의 낡은 사업방법과 작풍을 비판한다. 신석갱에서 연구기지를 잡고 있던 윤혜영은 연구과제를 끝내고 돌아갈 조바심에 사로잡혀 현우림에게 수입제 원료를 보장해 줄 것을 요구한다. 현우림은 그의 요구를 들어주면서도 국내의 원료에 의거할 것에 대해 조언한다. 현우림의 노력에 의해 신석갱의 생산은 늘고 기술혁신의 성과들이 전면적으로 도입된다. 그러나 현우림은 만족하지 않고 생산을 더 높은 단계로 이끌기 위해 노력한다. 어느날 현우림은 현장에서 쓰러지고 불치병 판정을 받는다. 죽음을 앞둔 현우림은 수령의 교시를 끝까지 관철하지 못한 자신을 탓하고 남은 3개월 동안 모든 일을 처리하기 위해 정력적으로 일을 한다. 이를 알게 된 김성재는 현우림에 대한 치료대책을 세우고 상급당에 이 사실을 보고한다. 현우림이 애써오던 종합적 기계화가 완성되고 이를 보고 받은 수령은 현우림에게 전화하고 그의 치료를 위해 비행기를 보낸다.
<령마루>는 북한에서 김일성에게 충성을 다하는 주체형의 주인공의 모습과 과학자의 전형을 우수하게 형상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남한에서는 이 소설을 지식인 문제를 다룬 북한의 1980년대 대표적인 장편으로 꼽는다. 북한에서는 지식인을 ‘인텔리’라 부르는데 기능적인 지식인을 일컫는다. 이 소설은 기능적인 지식인을 다룬 <시련 속에서>(윤세중, 1957), <평양시간>(최학수, 1976), <생명수>(변희근, 1978) 등의 계보를 잇는다.
관련어 과학소설, 엄단웅, 붉은기쟁취운동
동의어 영마루
관련연구(남) 신형기, 『북한소설의 이해』, 서울: 실천문학사, 1996.
설성경 외, 『세계 속의 한국문학』, 서울: 새미, 2002.
윤병로, 「비평의 쟁점과 문학의 안팎」, 서울, 『한국문학도서관』, 1996.
관련자료(북) 김흥섭, 「과학자의 전형적성격 탐구」, 『조선문학』, 1호, 1987.
류만 외 6명, 『조선현대문학작품해설(1)』,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백경을, 「주체형의 인간의 참된 삶에 대한 진실한 형상 : 장편소설 「령마루」에 대하여」, 『조선문학』, 2호, 1981.
엄단웅, 「정치적생명을 끝없이 빛내여나가는 혁명적 주인공이어야 한다」, 『조선문학』, 7호, 1976.
엄단웅, 『령마루』, 평양: 문예출판사, 1986.
윤종성, 「무엇을 위한 삶이며 무엇을 위한 투쟁인가 : 장편소설 「령마루」의 주인공을 두고」, 『조선문학』, 7호, 1984.
참고자료 사회과학출판사 편, 『문학대사전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9.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