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역사주의 [historicis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임옥규
정의
역사주의는 사물현상의 발생 발전 과정을 역사적 조건과 연관하여 분석 연구하는 태도이며 역사주의적 원칙은 작품을 창작할 때 시대와 사회제도와의 관계 속에서 역사적 구체성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과 생활을 묘사하는 사실주의 창작방법을 견지하는 것을 일컫는다.
용례/관용구
모든 문제를 력사적인 조건과 환경에서 떼내여 추상적으로 보아서는 안됩니다. 『김일성전집 32』, 2000.
기원
역사주의는 일반적으로 모든 사실과 현상(現象)은 역사적 생성 과정 속에서 파악되며 그 가치와 진리도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드러난다고 보는 입장을 말하며 사적 유물론(史的 唯物論)의 바탕 위에서 역사 법칙을 절대시하는 입장을 일컫는다. 북한에서는 작가, 예술인들에게 창작을 하거나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할 때 구제적인 역사적 조건과 관련시키는 역사주의적 태도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
변천
북한 문학예술 분야에서 역사주의는 역사주의적 원칙이란 말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주체의 문예이론이 정립된 이후에는 문학예술 역사의 서술과 문화유산에 대한 분석, 평가에서 바탕이 되는 역사주의적 원칙이 주체의 원리, 당성, 계급성의 원칙을 확고히 견지할 때에만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주제 작품 창작에서는 역사주의 원칙과 현대성 원칙의 결합을 강조한다.
내용
북한 문학예술에서 역사주의는 작가, 예술인들의 창작과 활동이 일정한 사회 역사적 조건하에 시대와 사회제도의 제약을 받으면서 발전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과거의 문학예술은 당시 시대와 사회의 역사적 조건으로부터 제한성을 가지게 되며 한 시대의 문학예술은 다른 시대의 문학예술과 구별되는 특성을 지닌다. 새로운 사회주의 문학예술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 성과를 밝히기 위해서 북한 문학예술은 역사주의적 원칙 외에 주체의 원칙, 당성, 계급성의 원칙을 견지하여야 한다. 또한 인간과 생활을 묘사할 때 역사주의 원칙에 현대성의 원칙의 결합을 요구하여 사실주의적이면서 현대인의 미감에 맞는 작품 형상화를 추구한다. 작품에서 인간의 사상, 감정, 풍속과 관습, 의복, 언어 등을 형상화할 때 그 시대의 특성을 정확하게 고증해서 표현하여야 하며 생활묘사는 현 시대 사람들의 사상 감정과 미감에 맞게 표현되어야 진실성이 보장된다고 본다. 역사주의는 북한의 현 시점에서 과거의 역사와 생활을 취사선택하여 계급의식과 민족적 자주성을 고취하는 데 활용된다.
동의어 력사주의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대사전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