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연극 써-클원의 수첩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정수
시기
1949년
제작자
배용, 한진섭, 리재덕, 최 건, 리상남, 황철, 지경순, 김양춘, 리수약, 리시형, 태을민, 리재현, 김일영, 전근영, 한병각, 한일송, 김종협, 최창엽, 주영섭, 신고송
정의
북조선직업총동맹(현 조선직업총동맹) 군중문화부가 이론편·실제편으로 나누어 기술한 연극 교과서로, 필진에는 배우, 연출, 무대장치가 등 20명이 참여했다.
내용
목차
리론편
一. 연극과 인민
二, 써클연극과 군중문화
三. 조선연극운동이 걸어온 자취
(1) 고전극
(2) 가면극과 인형극과 구극
(3) 신극운동
(4) 해방후 조선민족연극운동
ㄱ. 공화국북반부의 연극
ㄴ. 공화국남반부의 연극
四. 선진국가 쏘련의 연극
실제편
一. 연출하는법
(1) 써-클연극의 연출방법
(2) 번역극은 어떻게 연출하는가
(3) 력사극은 어떻게 연출하는가
二. 연기법
(1) 연기일반에대하여
(2) 로동자역에 대하여
(3) 청년역에대하여
(4) 늙은이역에대하여
(5) 처녀역에대하여
三. 화장법
(1) 일반무대화장법
(2) 노역화장법
(3) 노파화장법
(4) 서양사람화장법
四. 무대장치 만드는 법
五. 무대조명 하는법
六. 효과 하는법
七. 무대의 형상에 대하여
八. 무대감독이 하는일
九. 희곡 쓰는법
(1) 희곡이란 무엇이며 희곡은 어떤 사건을 담아야하는가
(2) 희곡의 형식
(3) 희곡의 요소
(4) 희곡의 줄거리
지식편
一. 연극용어 해설
二, 연극을 보는 법
三. 북조선에있는 극단들
四. 문예총과 연극동맹
내용
이 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실제편”이다. 같은 해에 출판된 신고송의 『연극-써클 운영법』에 비해 한층 전문적인 입장에서 기술되었다. “실제편”에서는 연기/연출/화장/무대 등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한 것으로 보이며,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실용적이다. 이 당시 북한은 마르크스 예술론에 입각하여, 예술에 있어서의 신비주의를 거부한다. 이 책은 북한이 예술분야에서 체계적인 학습을 중요시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지식편”의 연극용어 해설이다. 북한의 문헌에는 간혹 소련의 번역어인 듯한 연극용어가 다수 있는데 그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다.
“에로큐션: 랑독법 화술 대사법 연설법
데크라메이숀-랑독 랑송 문장을 보면서 읽는 것
아-티큐레이션-어음 어구의 련계를 명료정확하게 발음하는 것 혓 바닥이 잘 돌아가야 한다.
인토네이션-억양 명령 감탄 탄식 의문 대답 애원 등을 정확히 분석하여 조명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엠파시스-강조 어세를 높이는 것 일행 또는 일구의대사중 특히 힘을 넣어서 말할 때(319쪽).”
관련어
북조선직업총동맹 군중문화부
관련자료(북)
『군중문화총서: 연극써-클원의 수첩』, 평양: 북조선직업총동맹군중문화부, 1949.
참고자료
『군중문화총서: 연극써-클원의 수첩』, 평양: 북조선직업총동맹군중문화부,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