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작가학원 [Writer Institut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조직
집필자
최진이
시기
1954년 11월 15일
정의
작가학원은 작가후비 양성을 담당한 김형직사범대학 작가양성반의 모체이다.
정의
작가학원은 작가후비 양성을 담당한 김형직사범대학 작가양성반의 모체이다.
규모와 구성
작가학원은 한 기수에 약 30여 명으로 구성된다.
규모
작가학원은 한 기수에 약 30여 명으로 구성된다.
내용
작가학원은 작가후비 양성을 담당한 김형직사범대학 작가양성반의 모체이다. 초기엔 6개월 학제였으며 1955년에 1기 졸업생 약 30명 정도를 배출했다. 작가반 제1기 학생소대장, 즉 학생조직 책임자는 1970년대 중앙당 문화예술부 문학과장으로 있으면서 북한 문단을 주도한 조경환이다. 중앙당 문학과장 시절 그가 발휘한 카리스마는 북한문단의 전설로 작가들 속에 전해지고 있다. 또한 북한의 시인 김철과 그의 후처 박명순, 1호 소설 최고작가 리종렬, 문예출판사의 원로 청년문학부장이며 인민기자 수상자인 오영환 등도 이 작가학원 1기 졸업생들이다. 특히 박명순은 작가학원의 ‘여왕’으로 명성이 높던 학생이었고, 시인 김철과의 사랑은 그녀가 작가학원을 졸업하여 문예출판사 기자로 배치 받은 후 시작되었다고 한다. 북한의 ‘가사왕’ 전동우는 작가학원 창작지도교원으로서 창작강의를 담당하였다. 작가학원은 얼마 후 김일성종합대학 어문학부에 부속되나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유로 1972년에 독립해 나와 김형직사범대학 어문학부에 귀속되었다.
작가학원은 북한의 작가후비 양성을 위한 첫 교육제도였다는 의의가 있다.
내용
작가학원은 작가후비 양성을 담당한 김형직사범대학 작가양성반의 모체이다. 초기엔 6개월 학제였으며 1955년에 1기 졸업생 약 30명 정도를 배출했다. 작가반 제1기 학생소대장, 즉 학생조직 책임자는 1970년대 중앙당 문화예술부 문학과장으로 있으면서 북한 문단을 주도한 조경환이다. 중앙당 문학과장 시절 그가 발휘한 카리스마는 북한문단의 전설로 작가들 속에 전해지고 있다. 또한 북한의 시인 김철과 그의 후처 박명순, 1호 소설 최고작가 리종렬, 문예출판사의 원로 청년문학부장이며 인민기자 수상자인 오영환 등도 이 작가학원 1기 졸업생들이다. 특히 박명순은 작가학원의 ‘여왕’으로 명성이 높던 학생이었고, 시인 김철과의 사랑은 그녀가 작가학원을 졸업하여 문예출판사 기자로 배치 받은 후 시작되었다고 한다. 북한의 ‘가사왕’ 전동우는 작가학원 창작지도교원으로서 창작강의를 담당하였다. 작가학원은 얼마 후 김일성종합대학 어문학부에 부속되나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유로 1972년에 독립해 나와 김형직사범대학 어문학부에 귀속되었다.
작가학원은 북한의 작가후비 양성을 위한 첫 교육제도였다는 의의가 있다.
관련어
문학대학
,
작가양성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