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실 [ office of creative arts]
상세 정보 표
분야 |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9분류 |
조직 |
집필자 |
최진이 |
시기 | 1960년대 초반 |
- 정의
-
창작실은 북한에서 현역작가들의 작품창작 장소를 지칭하는 의미로 쓰인다.
- 정의
-
창작실은 북한에서 현역작가들의 작품창작 장소를 지칭하는 의미로 쓰인다.
- 내용
-
창작실은 현역작가들의 행정단위별 창작실과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창작실을 모두 지칭한다.
행정단위 성격이 짙은 창작실로는 작가동맹 평양창작실과 그에 행정적으로 직속된 각 도의 분창작실들이 있다. 평양창작실은 대동강구역 문수동의 소설창작실, 중구역 경림동의 시창작실로 구성되어 있다. 평양시 현역 작가들이 출근하여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책상, 의자, 소파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소설 창작실은 2인 1실이며, 개별 침대까지 있어 식사조건만 용이하면 침식하며 글 쓰는 일이 가능하다.
작가들의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창작실로는 남포 우장산창작실(작가동맹 현역작가들의 전용 창작실), 석암별장(4.15문학창작단 작가들의 전용 창작실), 자강도 화평 창작관리소(금성출판사 문학창작단 작가들의 전용 창작실이였으나 작가동맹으로 이관됨) 등을 들 수 있다.
행정단위와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성격이 합쳐진 창작실로는 101호 창작실(당 2호청사 소속), 4.25인민군창작실, 국가보위부 및 인민보안성 창작실 등이 있다.
북한의 창작실 제도는 국가가 작가들에게 편의용도로 시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내용
-
창작실은 현역작가들의 행정단위별 창작실과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창작실을 모두 지칭한다.
행정단위 성격이 짙은 창작실로는 작가동맹 평양창작실과 그에 행정적으로 직속된 각 도의 분창작실들이 있다. 평양창작실은 대동강구역 문수동의 소설창작실, 중구역 경림동의 시창작실로 구성되어 있다. 평양시 현역 작가들이 출근하여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책상, 의자, 소파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소설 창작실은 2인 1실이며, 개별 침대까지 있어 식사조건만 용이하면 침식하며 글 쓰는 일이 가능하다.
작가들의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창작실로는 남포 우장산창작실(작가동맹 현역작가들의 전용 창작실), 석암별장(4.15문학 창작단 작가들의 전용 창작실), 자강도 화평 창작관리소(금성출판사 문학창작단 작가들의 전용 창작실이였으나 작가동맹으로 이관됨) 등을 들 수 있다.
행정단위와 작품창작 장소로서의 성격이 합쳐진 창작실로는 101호 창작실(당 2호청사 소속), 4.25인민군창작실, 국가보위부 및 인민보안성 창작실 등이 있다.
북한의 창작실 제도는 국가가 작가들에게 편의용도로 시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