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청봉체 [Chongbong typ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서예
9분류 개념
집필자 홍지석
정의
청봉체는 북한에서 사용되는 서체 가운데 하나로, 붉은기체, 평양체와 함께 이른바 주체서예를 대표하는 서체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기원
청봉체는 항일혁명기에 김정숙이 조선인민혁명군 대원들이 청봉숙영지에 새긴 글발을 전형으로 하여 만든 붓글씨체로 알려져 있다.
내용
청봉체는 획들에 붓의 모양을 그대로 살려쓰는 서체이다. 즉 청봉체는 붓을 세워서 끄는 붓질방법으로 붓의 형태적 요소들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획에 살려 쓰는 것이 특징이다. 박영도에 의하면 청봉체는 기본 획을 굵게 하여 무게 중심을 보장하면서 그것을 기준으로 자음과 모음, 받침을 상하좌우로 공백을 주면서 묶어주기 때문에 글자들이 단단하고 굳건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청봉체의 주요 특징으로는 1) 획이 전반적으로 굵으면서도 비반복적이라는 점, 2) 획의 결구들이 부분면과 각원으로 이루어진 점, 3) 너비보다 높이가 높다는 점 등이다.
『조선서예발전사』(2008)의 저자인 박영도에 따르면 청봉체는 북한의 서체 가운데 가장 세련되고 현대적 미감에 맞으며 서법원리가 전형적으로 체현된 서체로 혁명사적비와 기념비적건축물, 여러 구호들과 출판보도부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관련연구(남) 박병천, 「북한 서예술의 동향분석과 전망 : 8, 90년대 서예이론 자료를 중심으로」, 『동양예술』, 제3집, 2001.
오명남, 「北韓의 한글書體 形成過程과 書體的 特徵 : 청봉체를 중심으로」, 『동양예술논총』, 제5집, 2001.
관련자료(북) 오광섭, 「주체시대의 서체―청봉체에 대하여」, 『조선예술』, 제11호, 1996.
박영도, 『조선서예발전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청봉체

이미지명 : 청봉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