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국을 위하여 [For the Motherland]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유화
9분류
작품
집필자
홍지석
시기
1955년
제작자
홍종원
정의
<조국을 위하여>(246×144㎝, 조선미술박물관)는 홍종원이 1955년 제작한 유화작품이다.
내용
<조국을 위하여>는 6.25 전쟁 직후인 1955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이후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된 전쟁영웅 주제 그림의 원형 가운데 하나이다. 『문학예술대사전(DVD)』(2006)에 따르면 이 작품은 6.25 전쟁 시기 적 화구를 몸으로 막아 부대의 진격로를 열어놓은 인민군 전사를 형상한 작품이다. 북한 평론가 리재현은 이 작품이 인민과 인민군 장병들로 하여금 ‘수령결사옹위정신’, ‘총폭탄정신’, ‘자폭정신’으로 교양하는 데 이바지하였다고 하면서 “우리 문학예술작품에서 비교할 수 없는 가장 우수한 성과작”으로 평가하고 있다. 작가(홍종원)의 회고에 따르면 이 작품의 주인공은 해방 후 당에 의해 육성된 민청원으로, 1951년 9월 27일에 전사한 ‘리수복 영웅’을 모델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작가의 말을 인용하면 그는 “화면의 구도를 동적인 대각선으로 보장하면서 주인공을 그 위치에서 바짝 일으켜 세워 적의 화구를 제압하려는 듯한 동세를 취하게” 했고 “새벽하늘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주인공의 영웅적 기상을 전면적으로 부각”시켰으며 “적의 화광을 이용하여 주인공의 성격적 특질을 안면에 집중”시켰다.
북한 평론가 김형락은 2001년에 쓴 글에서 이 작품이 “전진하는 주인공의 박력 있는 자세와 하늘배경의 뚜렷한 톤대조”를 “적화구에서 뿜어 나오는 불빛에 의한 강한 명암대조 설정”과 잘 배합하여 영웅전사의 억센 기상과 불타는 적개심, 불굴의 투쟁정신을 넘쳐흐르게 했다고 고평하고 있다.
작품을 제작한 홍종원은 1928년 경기도 인천 태생이다. 1947년 배운성이 운영하던 운성회화연구소와 성북회화연구소에 다녔고 1948년 홍익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전쟁 기간 의용군 입대의 형태로 월북했다. 전후 화가로 활동하면서 대표작 <조국을 위하여>를 제작했다. 위생선전관, 금성청년출판사 등에서 선전화, 삽화, 판화 등을 주로 그렸다.
관련어
홍종원
,
조선미술박물관
관련자료(북)
홍종원, 「영웅의 형상을 창작하기 위하여 - 유화 <조국을 위하여>을 창작하고서」, 『조선미술』, 제6호, 1965.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김형락, 「회화의 환경묘사에서 명암에 의한 미적정서」, 『조선예술』, 제7호, 200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조국을 위하여
이미지명 : 조국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