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문학사(김대본)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성수
시기1971년~1982년
제작자김춘택, 은종섭 외
정의
『조선문학사』(김대본)는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에서 1971년부터 1982년까지 간행된 5권짜리 문학사이다.
내용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본(이하 ‘김대본’) 『조선문학사』는 원래 1971년 김일성종합대학 조선문학강좌의 집체작으로, 전 6권이 기획되었다. 제1권(원시~19세기 중엽)은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에서 1971년 간행되었으나, 제2권(19세기 말~1945), 제3권(혁명문예), 제4권(1945~1953), 제5권(1953~1966) 제6권(1967~1970)은 계획대로 나오지 않았다. 1979년에 ‘혁명문학예술(1920년대 후반~1945)’과 ‘해방 후 문학(1945~50)’을 서술한 조선문학강좌 명의의 제2권만 간행되었다. 아마도 사회과학원의 5권짜리 문학사와의 중첩이나 역학관계 때문으로 추정된다.
김대본 『조선문학사』는 1982년 전 5권으로 간행되었다. 제1권 ‘고대중세문학(원시~19세기 중엽)’은 김춘택, 제2권 ‘근대문학과 항일혁명투쟁시기 문학(1866~1945)’은 은종섭, 제3권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혁명시기 문학’ 1, 2장(1945~1953)은 리동원, 제4권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혁명시기’ 문학 3장(1953~1958)과 ‘주체예술의 대전성기’ 1장(1958~1967)은 김려숙·변귀송·박용학, 제5권 ‘주체예술의 대전성기’ 2장(1967~1980)은 김려숙·변귀송·신경균이 집필하였다.
주체사상과 수령론을 일방적으로 관철시킨 나머지 혁명문예만 과잉 서술하고 민족문학사의 실상을 지나치게 왜곡 축소했다고 비판받는 사회과학원의 5권짜리 『조선문학사』(1977~1981)와 비교할 때, 우리 문학사의 실상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에 대한 이념적 정치적 접근이 우선시되는 사회과학원보다 김일성대학이 상대적으로나마 학문적 접근을 한 결과로 풀이된다.
관련어 조선문학사(1956), 조선문학통사(1959), 조선문학사(1977~1981), 조선문학사(1991~2012), 김춘택, 은종섭, 리동원, 김려숙, 변귀송, 박용학, 신경균
관련연구(남)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1.
민족문학사연구소 남북한문학사연구반,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서울: 소명출판, 2014.
참고자료 김춘택, 『조선문학사1』, 서울: 천지,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