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문학사(1991~2012)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성수
시기
1991년~2012년
제작자
정홍교, 김하명, 류만 등 사회과학원 학자
정의
『조선문학사』(1991~2012)는 1990년대에서 2010년대에 걸쳐 정홍교, 김하명, 류만 등 사회과학원 학자들이 집필한 총 16권짜리 문학사이다.
내용
1977년부터 1981년에 사회과학원 학자들이 집체작으로 집필했던 5권짜리 『조선문학사』를 대폭 수정, 보완하는 새로운 성격의 총 15권짜리 문학사가 1991년부터 2010년대까지 집필되었다. 2012년에 제 16권이 ‘1990년대문학’을 부제로 뒤늦게 나왔다.
제1권 고대·삼국·발해시기문학(1991), 제2권 고려시기문학(1994)은 정홍교, 제3권 15~16세기문학(1991), 제4권 17세기문학(1992), 제5권 18세기문학(1994), 제6권 19세기문학(1999)은 김하명이 집필했다. 제7권 19세기후반~1926년문학(2000), 제8권 항일혁명문학(1992), 제9권 1920년대후반~1940년대전반기문학(1995)은 류만이 집필했다. 제10권 해방후문학(1994)은 오정애·리용서, 제11권 조국해방전쟁시기문학(1994)은 김선려·리근실·정명옥, 제12권 전후복구, 사회주의 기초건설기문학(1999)은 리기주가 썼다. 제13권 사회주의의 전면적 건설기문학(1999)은 최형식, 제14권 1970년대시기문학(1996)은 천재규·정성무, 제15권 주체사상화위업시기문학(1998)은 김정웅·천재규, 제16권 1990년대문학(2012)은 류만·최광일이 집필했다.
1950년대 북한 학계의 성과가 담긴 『조선문학통사』 상하권과 1970년대의 성과를 반영한 『조선문학사』 전 5권만큼의 결정적 차이가 1990년대판 『조선문학사』 전 16권에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주체사상과 수령론을 일방적으로 관철시키는 바람에 문학사적 실상을 왜곡, 훼손시키면서까지 계급주의적 원칙을 지켰던 1970년대 문학사의 완고성이 덜하고 대신 민족주의적 시각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민족제일주의’에 더해 20여 년 동안의 연구 성과가 반영된 새로운 문학사적 사실들을 보완하고 있다. 다른 한편, 1980년대 문학사 서술에서는 주체사상과 수령론의 시각을 강화하고, 1990년대 문학사에서는 ‘수령 형상 문학’을 중심에 놓는 서술에 더해 ‘선군(혁명)문학’을 새롭게 강조하고 있다. 이는 체제 붕괴의 위기를 선군정치, 선군사상으로 극복했다고 믿는 북한 정권의 신념이 일정 정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어
조선문학사(1956)
,
조선문학통사(1959)
,
조선문학사(김일성대학본
,
1971~1982)
,
조선문학사(1977~1981)
,
정홍교
,
김하명
,
류만
,
오정애
,
리용서
,
김선려
,
리근실
,
정명옥
,
리기주
,
최형식
,
천재규
,
정성무
,
김정웅
,
최광일
관련연구(남)
민족문학사연구소 남북한문학사연구반,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서울: 소명출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