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불멸의 력사 총서 [cycle of novels "Immortal Histo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은정
시기1972년~현재
정의
김일성의 혁명업적과 공산주의적 풍모를 반영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4.15문학창단에서 창작하고 있는 여러 권의 장편소설로 이루어진 총서의 제목이다.
용례/관용구
총서 ≪불멸의 력사≫ 의 창작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형상창조문제가 우리 문학에서 가장 높은 사상예술적 경지에서 해결되고 로동계급의 수령 형상창조문제에서 참다운 본보기가 마련되였다는것을 알리는 일대 사변으로 되며 소설문학에서 새로운 총서형식을 개척한 문예사적업적으로 된다. 『문학대사전』, 2000.
기원
북한의 ‘수령형상문학’에 대한 공식적인 지향은 김정일이 1966년 2월 7일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천세봉과 한 담화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담화에서 김정일은 ‘혁명문학’이란 ‘수령을 형상한 문학’이라는 명제를 제시하고 있다. 김정일은 창작집단의 필요성을 시사하면서 그 집단의 중심 작가를 창작 재능이 좋은 작가들로 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창작집단의 전문성을 통해 수준 높은 작품의 창작과 새로운 작가들을 발굴, 키워 나간다는 전망이 내포되어 있다.
천세봉과 유능한 작가 몇몇이 1966년 1월과 2월 김일성에게 소환되어 보름 동안 항일혁명시기의 회상을 들으면서 “불멸의 력사”의 창작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총서 “불멸의 력사”의 첫 작품은 권정웅의 <1932년> 이다.
내용
총서 “불멸의 력사”의 표제를 제안한 사람은 김정일이다. 김정일은 “불멸의 력사”의 창작에 있어 기계적으로 시기 구분하여 쓰지 말고 독자성과 특색을 가진 하나의 완결된 작품으로 창작할 것을 교시하면서 전기적 성향이 짙어졌다. “불멸의 력사”는 항일무장투쟁을 그리고 있는 해방 전편과 해방 이후 건국과정에서부터 김일성의 죽음까지를 다루고 있는 해방 후편이 있다.
2015년 8월 현재까지 총서 “불멸의 력사”는 해방 전 17편, 해방 후 23편 등 총 40권이 창작되었다. “불멸의 력사”는 해방 전편으로 <혁명의 려명>2(천세봉), <1932년>6(권정웅), <고난의 행군>13(석윤기), <백두산 기슭>9(현승걸. 최학수), <두만강 지구>14(석윤기), <근거지의 봄>7(리종렬), <대지는 푸르다>4(석윤기), <닻은 올랐다>1(김정), <준엄한 전구>15(김병훈), <은하수>3(천세봉), <압록강>10(최학수), <잊지 못할 겨울>12(진재환), <봄우뢰>5(석윤기), <위대한 사랑>11(최창학), <혈로>8(박유학), <붉은 산줄기>16(리종렬), <천지>17(허춘식) 등이 창작되었으며, 해방 후편으로 <빛나는 아침>19(권정웅), <50년 여름>24(안동춘), <조선의 봄>20(천세봉), <조선의 힘>25(정기종), <승리>28(김수경), <대지의 전설>30(김삼복), <영생>34(백보흠.송상원), <삼천리강산>22(김수경), <열병광장>21(정기종), <번영의 길>29(박용운), 개선>18(최학수), <푸른 산악>26(안동춘), <인간의 노래>31(김삼복), <태양찬가>23(남대현), <전선의 아침>27(김삼복), <청산벌>32(김삼복), <대박산마루>33(송상원), <미래>35(최영조), <해방전야>36(전흥식), <운명>37(정기종), <새나라>38(윤경찬), <의리의 전역>39(윤정길), <명맥>40(탁숙본) 등이 있다.
총서 “불멸의 력사”는 수령형상문학으로 혁명문학에 포함된다. 총서 “불멸의 력사”는 북한에서 “수령 형상창조의 본보기이며, 소설문학에서 새로운 총서형식을 개척한 문예사적 업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관련어 4.15문학창작단, 수령형상문학
대응어 불멸의 향도 총서
동의어 불멸의 역사 총서
관련연구(남) 김은정, 『사적 기록성과 미적 거리의 길항』, 서울: 소명, 2013.
김은정, 「수령형상문학론: 총서 “불멸의 력사”와 “불멸의 향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언어와 문학』, 서울: 경인문화사, 2006.
참고자료 김은정, 『사적 기록성과 미적 거리의 길항』, 서울: 소명, 2013.
김은정, 「수령형상문학론: 총서 “불멸의 력사”와 “불멸의 향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언어와 문학』, 서울: 경인문화사, 2006.
『문학신문』, 2003. 6. 28.

이미지

불멸의 력사 총서

이미지명 : 불멸의 력사 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