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력사의 새벽길(上) [Untrodden Path of History (the first volum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은정
시기
1972년
제작자
리기영/ 4.15문학창작단
정의
<력사의 새벽길>은 김형직의 업적을 다룬 리기영의 장편 혁명소설이다.
용례/관용구
당대의 각이한 계급과 계층을 대변하는 여러 인물들을 유기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우리 인민의 세태풍속과 아름다운 자연풍경에 대한 인상깊은 묘사, 생활의 극적계기에 대한 예리한 포착과 선명한 극적대조수법,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파고들어 진지하게 묘사한 심리분석적인 묘사, 치밀한 감정조직과 정서적굴곡 등 형상수법을 다양하면서도 폭넓게 적용하여 주제사상적과제를 뚜렷이 밝혀내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72년 문예출판사에서 간행된 리기영의 작품이다. 8개의 장과 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2년에는 4.15문학창작단의 창작으로 출간되었지만 1994년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재출간되면서 리기영 작품으로 소개되었다.
김형직은 척화비를 일으켜 세우며 민족해방운동의 새로운 진로를 고민한다. 김형직은 구미열강에 의존하여 나라의 독립을 이룩해보려는 송세호와의 논쟁을 한다. 그는 조선사람 자체의 힘으로 독립을 이룩해야 한다는 “지원”의 사상을 주창하면서 전국적인 혁명조직에 대한 방침을 세운다. 그는 강동군 내동부락으로 활동무대를 옮겨 전국적인 반일 지하 혁명조직인 조선국민회 결성을 위한 준비사업을 한다. 내동부락으로 온 그는 학교개건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김형직은 지주와의 투쟁을 통해 머슴으로 끌려가던 순회를 구출한다. 이 과정에 조직의 위력과 단결의 힘을 알게 된 농민들은 그의 지도에 따라 학교계와 비석계를 만들고 투쟁의 길에 나선다.
한편 그는 각지에 나가 투쟁하고 있는 파견원들의 편향을 바로잡기 위한 대책을 세우고 몸소 평양, 강동, 성천, 서울, 은률 등 전국 각지를 다니며 독립운동자들과 우국지사들을 만나 그들을 ‘지원’의 사상으로 교양한다. 빈농 출신의 의병이였던 홍준걸, 은률의 박윤환, 서울의 맹경재 등 계몽운동자들, 의병대장의 딸인 변옥림, 지식청년들인 조필우, 방인수 그리고 의병대장 추풍, 경상도의 독립운동자 김석하 등 당대의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반일애국운동자들이 조선국민회 창립사업에 참가하게 된다. 그리고 1917년 3월 23일 역사적인 조선국민회 결성을 선포하고 조선국민회의 당면과업과 혁명적인 조직규범, 행동준칙을 만든다.
김형직은 조선국민회 조직을 확대하기 위하여 독립군부대들을 찾아다니고, 간첩 암해분자의 책동으로 말미암아 파멸의 위기에 빠진 부대를 구한다. 간도에서 돌아온 그는 전국각지를 찾아다니며 국민회 조직을 확대한다.
조선국민회 사건으로 일제에 체포된 그는 옥중에서 의학공부를 한다. 1918년 가을에 출옥한 그는 가족들과 마을사람들에게 조국광복을 이룩하고 돌아올 것을 약속하고 북부국경지대에로 새로운 투쟁의 길을 떠난다.
이 작품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의 업적을 그린 소설로 조선국민회 결성을 전후한 시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단순히 김일성가계를 형상한 문학이 아니라 북한의 항일혁명투쟁의 근원을 지원사상에 기초함으로써 항일투쟁의 기원을 소급하는 데 그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북한은 이 소설이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의 ‘민족자주정신’과 ‘지원사상’, “혁명운동에 대한 옳바른 영도와 뛰여난 조직력, 혁명정신과 정열, 고매한 덕성을 높은 예술적경지에서 생동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만경대 혁명일가의 혁명적이며 애국적인 선명한 묘사, 진한 향토색을 띤 장진 화전민들의 생활풍속에 대한 묘사를 비롯하여 당시 조선 사람들의 세태풍속과 우리나라의 장엄하고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선명하고 인상 깊게 그린 작품”이라 기술하고 있으며, 이 작품이 김형직의 “혁명활동을 축으로 하여 당대의 각이한 계급과 계층을 대변하는 여러 인물들을 유기적으로 잘 맞물림으로써 이야기 줄거리의 흐름에서 전일성을 보장하였으며 주제사상적 과업을 밝힌”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관련어
리기영
,
혁명소설
,
4.15문학창작단
동의어
역사의 새벽길
,
역사의 새벽길(상)
,
역사의 새벽길 상
,
력사의 새벽길 상
관련자료(북)
4.15문학창작단, 『력사의 새벽길 상』, 평양: 문예출판사, 1972.
참고자료
4.15문학창작단, 『력사의 새벽길 상』, 평양: 문예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이미지
력사의 새벽길(上)
력사의 새벽길(上)
이미지명 : 력사의 새벽길(上)
이미지명 : 력사의 새벽길(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