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력사의 새벽길(下) [Untrodden Path of History (the second volum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오태호
시기
1997
제작자
김정민
정의
김정민의 <력사의 새벽길 하>(1997)는 리기영의 <력사의 새벽길 상>에 이어 일제시대에 항일투사로 활동한, 김일성의 부친 김형직의 생애와 혁명활동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내용
리기영의 <력사의 새벽길 상>(1972)에 이어 김정민이 창작한 하권은 1997년 창작에 출간되었다. 소설의 상권이 1917년 조선국민회 결성을 전후한 시기를 배경으로 쓰여지고 있다면, 하권은 1921년 여름부터 1926년 6월까지를 시대배경으로 하여 김일성의 아버지인 김형직의 일대기를 형상화하고 있다.
장백현 팔도구로 활동중심지를 옮긴 김형직은 대중의 단합을 반일투쟁의 근본방략으로 내세우면서 ‘광복군 총영’을 결성한다. 그는 왕정복귀의 방법으로 광복을 이룩해야 한다는 완고한 ‘왕정독립’ 사령 허근과, 인력으로 독립을 이룩할 수 없다고 하면서 무저항주의를 설교하는 포평 예배당의 심 목사를 옳은 길로 이끌기 위해 노력한다.
김형직의 포용력과 활동에 감화된 심 목사는 일제의 간교한 책동을 박차고 6,000평의 밭을 팔아 독립의연금을 마련해서 보낸다. 또한 노동재해를 입은 부상자들의 치료비를 받아내기 위한 투쟁을 벌여 승리를 쟁취한 장산목재소의 인부들은 ‘남도계’와 ‘처서계’를 합쳐 ‘형제계’를 내온다.
하지만 허근은 조선국민회의 일을 반대하며, 나중에는 군자금으로 <광복군 총영>이 상해에까지 가서 사온 무기들을 가로채기까지 한다. 이 사건으로 ‘광복군총영’과 ‘왕정독립단’의 대립이 일촉즉발의 위기에 처하자, 김형직은 오동진을 타이르고 단신으로 허근을 찾아가 무기들을 그대로 쓰게 한 뒤에 통합에 대한 옳은 견해를 가지도록 유도한다.
일제 주구의 밀고로 경찰에 체포된 김형직은 호송 도중 연계를 맺고 사업하던 지하조직원 황서사의 도움으로 연포리 주막집에서 탈출한다. 적들에게서 받은 모진 고문과 심한 동상으로 운신조차 어려운 몸이지만 김형직은 박달평까지 찾아가 무분별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 허근을 엄하게 질책한다. 그때에야 비로소 일제의 속임수에 놀아나 꼭두각시 노릇을 해온 허근은 자기의 잘못을 깊이 뉘우치며 오가재놈을 제 손으로 직접 처단한다. 그 해 8월 말리허에서는 내외 각지의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나라의 독립문제를 토의하는 ‘무송회합’이 진행된다. 그때로부터 얼마 후 김형직은 끝내 광복의 그날을 보지 못한 채 1926년 6월 10일 세상을 떠난다.
이 작품은 북한에서 반일민족해방운동의 지도자인 김형직의 ‘민족자주정신’과 ‘지원’의 애국사상, 혁명운동에 대한 영도와 조직력, 강의한 혁명정신과 불타는 혁명적 정열, 고매한 덕성을 높은 예술적 경지에서 생동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고평된다. 특히 “불멸의 업적을 력사적 사실에 맞게 주체의 인간학의 견지에서 진실하고 철학적으로 심오하게 형상”화하였으며, “만경대 혁명일가의 혁명적이며 애국적인 가풍에 대해서도 감명깊게 그리”면서, 특히 “아버님의 혁명활동을 직접 목격하시고 도와드리시며 아버님의 유언을 받들어 이 땅에 기어이 광복의 서광을 안아오실 굳은 결심을 다지시는 위대한 수령님의 불멸의 영상과 선생님의 혁명활동을 모든 힘을 다하여 적극 받들어주시는 강반석녀사의 숭고하고 강직한 풍모, 아드님의 혁명활동을 도우시는 김보현선생님과 리보익녀사, 선생님의 높은 뜻을 받들어 적극적으로 활동하시는 강진석선생님의 활달하신 성품 등을 진실하게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된다.
관련어
김정민
,
리기영
대응어
력사의 새벽길(上)
,
력사의 새벽길 상
동의어
역사의 새벽길(하)
,
역사의 새벽길 하
,
력사의 새벽길 하
,
력사의 새벽길 下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