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대성산 이야기 [Tale of Mt. Taesong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오태호
시기
1978년
제작자
리영규
정의
리영규의 장편소설 <대성산 이야기>(1978)는 대성산에 얽힌 설화적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작품이다.
내용
리영규의 장편소설 <대성산 이야기>(1978)는 평양의 문예출판사에서 출판된 소설로, 대성산에 얽힌 다양한 설화적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해주려는 의도로 창작된 작품이다.
어느 일요일, 고등학교 여학생 30명을 인솔한 40세 남짓의 여교원이 자신이 오래 전 대학생일 때 함께 참가하여 발굴하고 수집했던 대성산에 관한 전설을 이야기한다.
1958년 4월 30일 당시, 김일성종합대학 학생 40여 명이 대성산 유람보도를 닦고 있었는데, 그때 차를 타고 오던 김일성이 학생들이 땀흘려 건설한 길을 “어찌 차를 타고 가느냐”며 차에서 내려 걸어간 기억이 있다.
당시 유람보도를 건설하던 대성산은 1,700년 전 고구려 사람들이 장수봉, 을지봉, 소문봉, 국사봉, 주작봉을 따라 20리 성을 쌓았던 유서 깊은 산이다. 김일성은 대성산의 주작봉 앞에는 동물원을, 소문봉 앞에는 식물원을 건설하도록 지시하고, 종합대학 학생에게 99개의 전설보존과 고구려 고분 발굴 보존 등 유원지 건설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40리의 유람도로가 건설되고 장수각과 산성 남문의 고적이 복구 건설되면서, 관성열차, 공중열차, 수영장, 민속놀이터 등 유희장이 마련된다.
여교원은 대성산에서 발굴 수집된 열한 가지의 전설, 즉 1) 미천호의 전설(서해 용왕), 2) 구룡못(구룡), 3) 잉어못(고구려), 4) 형제못(세종조), 5) 수난의 역사(일제 강점기), 6) 산성이야기(고구려), 7) 안학궁(장수왕), 8) 벽돌공 이사달(고구려), 9) 사슴못(고구려), 10) 장수못에 관한 이야기(쇠메총각), 11) 장수각(고구려) 등의 이야기를 학생들에게 소개한다.
11가지의 전설을 각각 소개한 뒤, “학생동무들은 역사를 옳게 이해하여 문화유산 가운데서 아름답고 진보적인 것을 계승해야 하며 퇴폐적인 것, 저속한 것을 제거해야 한다.”라는 여교원의 당부가 이어지면서 소설은 마무리된다.
이 작품은 대성산 유원지를 조성하게 된 경위와 유적을 발굴하면서 나온 전설을 함께 기록함으로써 과거 문화유산의 기원과 유래를 설명하고 문화유산의 중요성과 현재성을 강조하는 작품이다.
관련어
리영규
관련연구(남)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