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대사 [words; line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정수
정의
무대에서 등장인물들이 하는 말로, 대화, 독백, 방백 등이 있으며 기본은 대화이다.
내용
연극에서는 대사를 가장 중요시 한다. 북한에서 평가하는 명대사란 ‘한두 마디의 간단한 대사라 해도 깊은 뜻이 있고 철학적 사색을 불러일으키는, 생활의 진리를 깨우쳐 주고 교훈을 주는 대사’를 말한다. 대사가 중요시되는 것은 대사가 성격과 상황에 맞을 때 인물의 특징과 생활의 본질이 명백하게 드러난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희곡에서 대사는 작가의 말이 아니라 인물에 따른 생생한 언어로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작품의 사상·내용이 아무리 새롭고 좋아도 대사가 생활적·현실적이지 않으면 참신하지 못하고 작품의 주제, 사상적 내용도 구체성을 띠지 못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남한/서구에서 “훌륭한 대사는 대단히 개성적이며 또한 이해하기 쉽다”는 말이 있는데, 대사에 대한 북한의 입장 역시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남한/서구가 연극을 “행동의 예술”로 보는 반면, 북한은 “대사의 예술”로 보고 있다. 또한 북한 무대에서는 방언이 허용되지 않고 모두 문화어를 사용하므로 현재 북한 배우들의 개성 있는 인물구축은 다소 한계를 안고 있다.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테리 호즌스, 이기우 번역 감수, 『연극 용어 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1998.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편, 『공연예술총서 Ⅷ: 연극사전』,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