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제비 [Swallow]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단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오태호
시기
2002년 11월
제작자
김해성
정의
김해성의 단편소설 <제비>(2002)는 ‘제비’라는 별칭의 군마와 자전거 이야기를 통해 부모의 정신을 이으려는 자식의 계승과 혁신을 강조하는 작품이다.
내용
김해성의 단편소설 <제비>(『조선문학』, 2002. 11.)는 소제목이 ‘1. 새 세기의 첫 봄에 / 2. 어머니의 처녀 시절 / 3. 아버지의 병사 시절 / 4. 아버지, 어머니의 신혼 시절 / 5. 나의 추억’으로 되어 있다. 소제목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 ‘제비’라는 군마와 자전거를 매개로 펼쳐지는 부모님의 사랑과 헌신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정신을 이어받으려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인 ‘나’의 다짐이 그려진 작품이다.
작품 속에서 ‘나’는 새로운 세기가 되어 체신의 컴퓨터화를 꿈꾼다. 하지만 홀로 계신 어머니가 걱정이 되어 중앙 연구기관으로 나가지 않고 고향에 내려와 살 작정을 한다. 그러나 어머니로부터 아버지의 자전거인 ‘제비’와 더불어 40년 전에 부모님이 만나게 된 얘기를 들으면서 자신의 유약한 모습을 반성하게 된다. 40년 전 어머니(상금)는 외삼촌으로부터 <제비>표 자전거를 선물로 받아 타고 다니다 우연히 오른손이 의수인 외팔이 우편통신원인 영예군인 아버지와 부딪히게 된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외팔이 우편통신원에게 자전거를 가르쳐주면서 둘 사이의 관계는 급속도로 가까워지기 시작한다.
어머니는 우편통신원에게 <제비>표 자전거를 선물해주면서 우편통신원이 전쟁 때 타던 군마의 이름이 <제비>였다는 말을 듣게 된다. 아버지는 군대시절에 30대의 기통수(외할아버지)가 군마인 <제비>를 타고 전선에서 편지를 전하다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기통수가 된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부상을 당해 전상자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한 후 체신소 일군에서 일하게 된 것이다. 이 이야기를 들은 어머니는 군대시절의 기통수가 자신의 아버지였음을 알게 되고, 둘의 인연은 더욱 깊어져 이듬해 결혼에 이르게 된다.
아버지는 영예군인으로서의 삶만 살아도 되건만 60이 넘어서까지 계속해서 우편통신원 일을 한다. 그러던 어느 해 남들은 쉬는 설 이튿날에 일을 하다가 눈사태에 파묻혀 순직하게 된다. 우편 전달의 도구인 <제비>는 결국 외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군마였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의 증표인 자전거였기 때문에 나에게도 소중한 상징적 매개물로 등장한다. 따라서 나는 계승과 혁신을 위해 체신 프로그램의 이름을 강성대국의 봄을 알리는 <제비>로 작명하겠다고 다짐한다. <제비>는 사랑과 헌신의 상징물로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물임과 동시에 건강한 미래를 선도하는 정신적 상징물로 자리한다.
결국 이 작품은 “과거사를 이어받지 않는 현재는 없다”라는 인식에 작가의 강조점이 놓여 있는 작품이다. 즉 부모 세대의 사랑과 헌신의 이야기를 새천년에도 계승하려는 신세대의 의지와 열정을 표현함으로써, ‘과거→현재→미래’를 단선적이고 계승적으로 파악하는 북한 특유의 세계관적 특성을 보여준다.
관련어
김해성
관련연구(남)
오태호, 「최근 북한문학의 동향-단편소설 「막내딸」, 「제비」, 시 「아이를 키우며」를 중심으로」, 『문학사상』, 1월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