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도식주의 [conventionalis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남원진
정의
도식주의는 문학예술작품 창작에서 개성화를 무시하고 틀에 박힌 일반적 특징만을 강조하는 창작 경향이나 창작 태도이다.
용례/관용구
도식주의는 작가가 생활로부터 출발하여 생활의 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작가의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여 생활을 그에 알맞도록 강요하면서 필경 새 것과 낡은 것과의 투쟁으로 특징지여지는 생활의 모든 굴신성, 예리성, 그리고 복잡성을 이모 저모 깎아버리고 평탄하게 만들며 단순화하는 경향을 말한다. 엄호석, 「문학 발전의 새로운 징조」, 『문학예술』, 1952년 11호.
기원
도식주의는 고상한 사실주의가 공식화되면서 시작되었다.
내용
북한에서 도식주의는 문학예술 창작에서 이미 이루어진 틀에 맞추어 형상을 만드는 그릇된 창작 태도와 경향을 말한다. 엄호석은 도식주의란 “작가가 생활로부터 출발하여 생활의 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작가의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여 생활을 그에 알맞도록 강요하며 (……) 새 것과 낡은 것과의 투쟁으로 특징지어지는 생활의 굴신성, 예리성, 그리고 복잡성을 이모저모 깍아버리고 평탄하게 만들며 단순화하는 경향”이라고 말한다. 이는 생활의 모순과 부정적인 측면을 내포한 복잡한 상태를 진실하게 묘사하여 주인공의 긍정적 성격을 객관적으로 형상화하는 대신에 작가의 의도에 따라 그 긍정적 성격에 대응하는 ‘선의’의 묘사와 사실을 고의적으로 왜곡시켜 가는 것이다. 엄호석은 도식주의의 결과가 “생활의 복잡한 모순성으로 조성되는 긴장한 시추에이션의 전환은 내부적으로가 아니라 작가의 설명으로 외부로부터 강요”하게 되며 평면적이고 일직선적인 사건이 전개된다고 말한다. 도식주의란 문학예술 창작에서 현실을 공식화, 개념화, 단순화하는 것인데, 도식주의의 극복이란 객관적 현실의 반영이라는 리얼리즘의 기본원칙에 입각하는 것이다.
도식주의적 창작 경향은 ‘고상한 사실주의’ 창작방법이 공식화되면서 시작되었다. 고상한 사실주의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1차 확대상임위원회(1947. 1. 15~18.)에서 제시한 결정서에 언급한 ‘고상한 사상과 고상한 예술성’을 근거로 하여, 1947년 3월 28일에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 제29차 회의의 결정서 「북조선에 있어서의 민주주의 민족문화건설을 위하여」에서 ‘고상한 사실주의’라는 창작방법이 공식화되었다. 1947년 이후 고상한 사실주의가 공식화되면서부터 도식주의적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하며, 1956년 제2차 조선작가대회에서 도식주의에 대한 공식적인 비판이 행해졌다. 하지만 1958년 말부터 부르주아적 사상 잔재의 청산을 강조하면서, 1959년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제4차 전원회의 보고에서 제2차 조선작가대회에서 행한 도식주의 비판은 정당했지만, 이를 기회로 여러 작가들이 개인적인 소부르주아적 개인 취미를 가지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왜곡하고 이에 이탈하는 편향을 드러내는 오류를 범했다고 비판되었다.
그 후 1980년 1월 8일 김정일은 조선작가동맹 제3차 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작품의 정치사상적 풍격과 예술적 가치를 규정하는 철학적 깊이”를 강조하며, 1986년 5월 17일 문학예술부문 일군들과 한 담화에서 “사상예술성이 높고 호소성이 강한 문학예술작품을 많이 창작”할 것을 강조하면서 “도식주의적인 경향”을 비판했다. 1992년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에서도 창작에서 중요한 것은 “도식적인 틀에서 벗어나는 것”임을 강조하면서 다시 도식주의가 비판되었다. 하지만 실질적인 의미에서는 “수령형상을 창조하는 것”이 “주체문학건설의 기본의 기본”이며, 문학에서 “수령의 형상을 창조하는 것을 주선으로 확고히 틀어쥐고 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런 주체문학은 ‘항상 수령을 중심으로 한 현실을 긍정할 수밖에 없는 문학’임을 말한다. 이는 주체문학이 정해진 틀 위에서 창작할 수밖에 없는 도식주의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관련어 고상한 사실주의, 기록주의, 자연주의
관련연구(남) 김동훈, 「전후문학의 도식주의 논쟁 - 1950년대 북한 문예비평사의 쟁점」, 『문학과 논리』, 3권, 1993.
김재용, 「전후 북한문학계의 도식주의 비판과 좌절」,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서울: 역사비평사, 1998.
조경덕, 「1950년대 북한 소설의 도식주의 극복논의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남원진, 『남북한의 비평 연구』: 역락, 2004.
관련자료(북) 엄호석, 「문학 발전의 새로운 징조」, 『문학예술』, 195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금성청년출판사 문예도서편집부 편, 『학생문예소사전』,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1982.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김정일, 『김정일선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김정일, 『김정일선집 8』,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참고자료 엄호석, 「문학 발전의 새로운 징조」, 『문학예술』, 195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남원진, 『남북한의 비평 연구』: 역락,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