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자연주의 [naturalis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남원진
정의
북한에서 자연주의는 현실을 현상적으로, 기계적으로 묘사하며 생활의 본질과 진실성을 왜곡하는 부르주아 문학예술의 주된 사상 조류의 하나이다.
용례/관용구
자연주의는 생활을 있는 그대로만 그릴 뿐으로 있어야 할 생활을 그리지 못하며 생활의 합법칙성을 발견하지 못한다. 안함광, 「1951년도 문학창조의 성과와 전망」, 『인민』, 1952. 1.
기원
자연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를 비롯한 서유럽에서 발생하여 세계적으로 유행한 문학 사조이다.
내용
북한에서 자연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를 비롯한 서유럽에서 발생하여 세계적으로 유행한 사조로, 사물의 본질과 그 발전의 합법칙성을 무시하고 그에 대한 과학적 인식의 필요성을 부인하면서 순수경험만을 과장하고 절대화하는 실증주의와 사회적 운동을 생물학적 운동으로 고찰하는 사회다원주의에 그 사상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한효는 「자연주의를 반대하는 투쟁에 있어서의 조선문학」(1953)에서 자연주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현실의 본질적인 면을 사장시키고 비본질적인 것을 확대하여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연주의가 전형성을 거부하는 것은 소위 묘사의 객관성, 사실성, 사진성과 직접 연결되며 그 본질에 있어서 현실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라고 한다. 자연주의의 일반화는 객관적 진실을 표현하는 일반화가 아니라 그 진실을 왜곡하는 일반화라는 것이며, 자연주의의 요소는 현실에 대한 왜곡, 무도덕, 허구, 인간증오, 동물적 본능의 과장, 케케묵은 기만적 설교나 초현실주의, 신비주의, 감각주의 등 각종 유파를 포함한 모든 형식주의적 요소라고 말한다. 즉, 자연주의는 사실주의의 외피를 쓰고 나타난 반사실주의라는 것이다. 한효는 더 나아가 자연주의가 부르주아 계급의 이해관계를 표현하며 그들의 경제적 및 정치적 지배를 신성화하며 고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부르주아적 반동적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한 것이라고 말한다.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에서도 “자연주의는 우연적이며 비본질적인 것을 기계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생활의 본질과 진실을 왜곡한다. 자연주의가 추구하는 목적은 생활을 왜곡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착취사회의 모순을 보지 못하게 하고 그들의 계급의식을 마비시키며 자본주의의 ≪영원성≫을 설교하려는데 있다.”고 한다. 이러하듯, 북한에서 자연주의는 생활을 왜곡하기 위하여 비본질적인 것과 우연적인 것을 추구하는 반동적 부르주아 사상 조류, 즉 현실을 현상적으로, 기계적으로 묘사하며 생활의 본질과 진실성을 왜곡하는 부르주아 문학예술의 주된 사상 조류의 하나라고 지적한다.
관련어 형식주의, 기록주의, 도식주의, 부르주아 문학예술
관련연구(남) 김윤식 편,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일지사, 1976.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민음사, 1976.
한용환, 『소설학 사전』, 서울: 고려원, 1992.
장사선, 「남북한 자연주의 문학론 비교 연구」, 『국어국문학』, 130집, 2002. 5.
남원진, 「북한 문학예술의 ‘반제국주의 기획’ 연구」, 『통일정책연구』, 13-2집, 2004.
관련자료(북) 한효, 「자연주의를 반대하는 투쟁에 있어서의 조선문학」, 1~4호, 『문학예술』, 1953.
최철윤(역), 엘. 찌모페예브, 엔. 웬그로브,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금성청년출판사 문예도서편집부 편, 『학생문예소사전』,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198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김정일, 『김정일선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사회과학원 편, 『문학대사전 3』,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9.
참고자료 한효, 「자연주의를 반대하는 투쟁에 있어서의 조선문학」, 1~4호, 『문학예술』, 1953.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금성청년출판사 문예도서편집부 편, 『학생문예소사전』,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198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남원진, 「북한 문학예술의 ‘반제국주의 기획’ 연구」, 『통일정책연구』, 13-2집,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