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연구(남) |
최미란, 「김순석 시 연구」, 석사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김영수, 「김순석의 시적 행로와 향토적 미의식의 확대-『황금의 땅』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0호, 2005. |
관련자료(북) |
김순석, 「동요작품에 대하여」, 『아동문학집』, 1집, 1950. 김명수, 「아동문학 창작에 있어서의 몇가지 문제-『아동 문학』일이(一二)집과 동요 동시집 『항상 배우며 준비하자』를 중심으로」, 『조선문학』, 12호, 1953. 리정구, 「최근 우리 시문학상에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조선문학』, 9호, 1954. 리정구, 「우리 시문학의 제문제」, 『조선문학』, 8호, 1954. 김명수, 「서정시에 있어서의 전형성ㆍ성격ㆍ쓰찔」, 『조선문학』, 10호, 1955. 박팔양, 「시집 『찌플리쓰의 등잔불』」, 『조선문학』, 11호, 1955. 한설야, 「전후 조선 문학의 현 상태와 전망-제2차 조선 작가 대회에서 한 한 설야 위원장의 보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편, 『제2차 조선 작가 대회 문헌집』, 1956. 김순석, 「시인들의 협력은 우리의 시 문학을 전진시킨다」, 조선작가동맹출판사 편, 『제2차 조선 작가 대회 문헌집』, 발행지불명,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6. 『문학신문』, 1957년 2월 7일. 『문학신문』, 1958년 7월 3일. 『문학신문』, 1958년 7월 17일. 『문학신문』, 1958년 8월 28일. 장형준, 「해방후 아동 문학의 찬연한 발전 로정」, 조선작가동맹출판사 편, 『해방후 우리문학』, 1958. 『문학신문』, 1959년 1월 4일. 『문학신문』, 1959년 2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 『조선문학통사 하』,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9. 『문학신문』, 1959년 2월 26일. 『문학신문』, 1959년 3월 22일. 『문학신문』, 1959년 4월 16일. 박종원ㆍ류만, 『조선문학개관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6. |
참고자료 |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서울: 책세상, 2001.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_북한문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6.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 파주: 청동거울,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