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계승과 혁신 [succession and innovati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성수
정의
계승과 혁신이란 문학예술의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과거의 성과와 경험을 이어받아 개척하는 것을 말한다.
용례/관용구
새 시대의 문학을 탄생시키는데 작용하는 요인은 과거의 문학유산에 대한 계승과 혁신이며 새 시대의 인간과 생활에 대한 형상적 반영이다. 리수립, 「자주시대 문학의 앞길을 휘황히 밝혀주는 불멸의 대저작 《주체문학론》」, 『조선문학』, 1992년 10호.
내용
과거의 성과와 경험을 이어받는 것을 계승이라 하고 개척하는 것을 혁신이라 한다. 문학과 예술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합법칙적으로 설명하여 오늘날 이루어지는 문예 창작의 일정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사회주의 문학예술사 이론의 중요한 개념이다.
북한 문학예술사에서 계승과 혁신이 특히 문제되는 것은 주체문예이론의 확립 이후이다. 이전까지 마르크스 레닌주의 이념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보편적 미학을 북한 문예의 미적 기율이자 전통으로 삼았다가 주체문예이론의 형성과 정립에 따라 이를 주체사상에 기초한 주체사실주의 미학으로 대체하면서 계승과 혁신의 관계가 새삼 문제되었다. 북한 사회주의문학예술의 기원과 전통을 중세문학의 진보적 유산과 일제 강점기 카프를 중심으로 한 프롤레타리아 문학예술의 전통에서 찾던 예전의 인식을 복고주의와 허무주의라고 비판하면서 그 계승성을 폐기하고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유일 전통으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오늘날의 문예 종사자들은 이전의 진보적 문화유산보다 절대 우위에 있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유일 전통을 계승하고 이를 혁신하는 데서 문학예술의 역사적 기원과 합법칙성을 찾고 있다. 노동계급의 새로운 사회주의문학예술인 주체문학예술은 과거의 문학예술 가운데서 진보적이며 인민적인 것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새로운 시대와 현실에 맞게 혁신적으로 발전시키는 사회주의적 민족문화로 정립된다는 것이다.
관련어 유산과 전통
관련연구(남) 임옥규, 「『주체문학론』의 이념과 창작방법」, 『남북문화예술연구』, 통권 제8호, 2011.
관련자료(북)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참고자료 강진웅, 「북한의 항일무장투쟁 전통과 민족 만들기-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주체」, 『한국사회학』, 제46집 1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