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동요 [children's s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 동요
9분류 개념
집필자 장정희
정의
아동시가문학에서 독특한 형식의 하나로써 어린이들의 감정 정서에 맞는 시 음악의 형식이다.
용례/관용구
동요는 아동시가문학에서 독특한 형식의 하나로써 어린이들의 감정 정서에 맞는 시음악의 전형적인 종류이다. 동시가 서정적 방식으로서 읊을 수 있게만 되어 있다면 동요는 시로서 읊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래부를 수 있게 되어 있다.『아동문학』,1981.
기원
원래 동요라는 말은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왔다.
전승동요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신라 향가인 ‘서동요(薯童謠)’가 있다. 1920년대 이전, 주로 남북한에 공통적으로 전래되어 오던 전승동요는 3․4조, 또는 4․4조가 많다.
변천
해방 후 북한에서는 동요가 아동문학예술의 혁명 전통을 이어받는 아동문학 분야로 인식되어 어린이의 혁명적 교양에 이바지할 수 있는 ‘아동혁명가요’가 적극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내용
동요는 행과 연 구성이 비교적 단조롭고 간결하다. 학령 전 어린이들을 위해 유년동요를 따로 지어 줄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특히 북한에서는 동요에서 사상적 내용을 담을 것을 강조한다. 사상적 내용(당의 혁명사상과 주체사상)을 무시하면 형식주의, 자연주의, 예술지상주의로 떨어진다고 경고한다.
북한에서는 동요와 동시의 구별이 뚜렷하며 동요의 작품 활동도 매우 활발하다. 반면, 남한 아동문학에서는 ‘동요’라는 개념도 쇠퇴하여 창작이 극히 미미할뿐만 아니라 아동문학의 운문 분야 장르 명칭으로 ‘동시’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어 있다.
관련어 아동혁명가요
관련연구(남)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울: 서문당, 1983.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서울, 『국문학논집』, 17호, 2000.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서울: 청동거울, 1999.
서동수, 「북한 아동문학의 장르인식과 형상화 원리」, 『동화와 번역』, 9집, 2005. 6.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조쏘출판사 편,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
『아동문학』,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동요

이미지명 : 동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