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천리마휘장을 두고 [Putting the Chollima Badg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정시
9분류
작품
집필자
최진이
시기
1961년
제작자
조성관
정의
<천리마휘장을 두고>는 천리마시대의 인간상을 노래한 조성관의 시이다.
용례/관용구
천리마기수들의 아름다운 정신세계와 숭고한 풍모를 찬양한 작품이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천리마작업반 심사요강에 따라 1년 남짓 준비하여 심사에 통과된 단위 성원들에게 휘장이 수여되는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은 전후 북한의 동력이 되었던 전 군중적 사회운동이다. 1950년대 중반 사회주의적 개조로서 농업협동화를 실행하였고, 1958년 사회주의 협동화를 끝냄으로써 생산관계의 사회주의화를 완료하였다.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을 통해 고착된 천리마시대 인간관은 그 시대를 산 사람들 속에 이상으로 남아 있기도 하다.
조성관은 이 시 1연에서 “길가에서 처음 만나도 구면 같아/다정스레 인사말 나누고 싶더라/가슴에 천리마휘장을 보면-” 서술하면서 천리마휘장을 가슴에 단 사람을 보는 첫 느낌에 대해 서정적 토로를 하고 있다. 이것은 당대 사회의 꾸밈없는 정서였다. 천리마작업반 심사규정을 만드는 쪽도 심사하는 쪽도 심사받는 쪽도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 과정을 통해 자기완성을 추구했고 그렇게 쟁취한 천리마휘장을 당시 북한에서는 신뢰하고 존중하고 우대하였다. 현재 암암리에 김일성 김정일 초상휘장을 매매하는 것처럼, 당시에는 천리마휘장을 매매하는 일은 없었다. 물론 이 운동도 세대교체와 함께 사회가 물질중심주의적으로 변해 가면서 점점 퇴색되어 김정일 시대에 들어서서는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에 자리를 내어주고 말았다.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은 공장단위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교육, 의료 및 문화예술부문, 철도, 광산, 입업, 수산, 상업 등 사회의 전 분야로 퍼져갔고 이 과정을 통해 사회에는 신뢰와 질서가 빠른 속도로 형성되며 안정되어 갔다. 천리마운동에 사회치유의 성격도 들어있었던 셈이었다. 권력자의 시선에서 이 운동이 사회결속용이었다면 이 운동에 참여하는 개인들에게는 계급상승이라는 이점이 있었다. 개인소유가 금지되어 물질적 차별이 불가능한 사회에서 도덕적 우월성이라는 차별의 무기를 거머쥠으로써 개인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 것이었다. 이렇듯 상하의 이해관계가 서로 맞물리면서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은 요원의 불길처럼 전국으로 확산되어 갔다.
이 시는 천리마작업반쟁취운동의 긍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창작되었다. 시에 표상된 ‘천리마휘장’은 변변한 사회질서가 수립되지 않은 북한 사회에서 ‘믿어도 될 사람’이란 사인을 주는 기표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어버이수령님의 뜻을 받들어 불타는 그들의 심장/그들의 빛나는 마음이/툭 튀여 밖으로 나온 것”이라는 표현은 천리마기수들이야말로 당과 수령에게 무한히 충실하고 고상하고 아름다운 사상정신적 풍모를 지닌 시대의 참된 혁명전사들이라는 확신과 자랑이라는 호평을 이끌어낸 대목이다.
천리마 시기 북한 문학의 주요 과제는 새로운 윤리와 도덕을 지닌 인간을 형상화해내는 것이었다. 천리마 운동을 반영하고, 새로운 인간형인 천리마기수를 형상화한 이 시는 천리마시대의 전형 창조에 성공한 시라고 할 수 있다.
관련어
조성관
관련자료(북)
문예출판사 편, 『해방후 서정시 선집』, 평양: 문예출판사, 1979.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