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항일혁명문학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성수
정의
항일혁명문학은 김일성이 주도한 항일혁명투쟁시기에 창조된 혁명적 문학예술인 항일혁명문학예술의 한 갈래이다.
용례/관용구
항일혁명문학의 존재가 알려지는 차원을 넘어서서 그것이 북한의 혁명적 문예 전통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1959년 이후이다. 김재용, 「북한에서의 항일혁명문학 평가의 역사」,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1994.
내용
북한문학은 항일혁명문학의 혁명적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내세운다. 당의 문예정책 또한 항일혁명사상의 구현을 중요한 지표로 내세워 문학의 창작과 비평에서 혁명성의 이념이 최고의 가치로 인정받게 되었다. 원래 항일혁명문학예술은 1930년대에 김일성이 주도한 빨치산 부대가 항일무장투쟁을 하면서 전투 중간 중간에 집단 창작・공연한 노래, 촌극, 정치논설 등의 문예활동을 총칭하는 말이다. 노래, 촌극, 정치논설은 각각 ‘혁명적 가요,’ ‘혁명적 연극,’ ‘혁명적 정론’으로 불렸다. 혁명적 가요로는 <조국광복회 10대 강령가>, <반일전가>, <토벌가>, <민족해방가>, 혁명적 연극으로는 <피바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 <경축대회>, <성황당>, <혈분만국회>, 혁명적 정론으로는 <강도 일제와 조선 민족의 처지> 등이 있다. 많은 작품이 김일성 창작으로 후대에 알려져 1970년대에는 김정일 주도하에 소설, 연극, 가극, 영화로 만들어졌고, 이것이 북한 문학예술의 유일한 전통이자 창작 수용의 모범이 되기도 하였다. 소설로 각색된 <피바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 <꽃 파는 처녀> 등이 항일혁명문학의 대표작이다. 이들 작품이 이후 북한문학의 창작과 유통의 절대적인 전범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관련어 항일혁명문학예술, 혁명적 가요, 혁명적 연극, 혁명적 정론
동의어 항일혁명투쟁시기문학
관련연구(남) 임진영, 「항일혁명문학」,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1.
김재용, 「북한에서의 항일혁명문학 평가의 역사」, 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4.
관련자료(북)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로동당출판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