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태원 [Pak Taewo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가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성수
출생일
1909년 12월 7일
사망일
1986년 7월 10일
출생지
서울
정의
박태원은 1930년대 모더니스트였으나 월북 후 북한 최고의 역사소설을 쓴 소설가이다.
용례/관용구
박태원의 해방후 창작과정은 어떤 난관속에서도 창작의 붓끝을 벼리고 벼려 조국과 인민에 대한 뜨거운 애정과 열정을 끊임없이 내뿜은 참다운 애국적인 작가로서의 투쟁이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서울 수중박골 출신 소설가로 경성제일고보를 나와 일본 호세이대학을 다녔다. 대학 중퇴 후 귀국하여 기자, 번역가, 작가 활동을 하다가 1933년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이상 등으로 구성된 구인회에 가담하였다. 구인회를 중심으로 순수문학가, 모더니스트로 활동하면서 대표작 <소설가 구보씨의 1일>(1934), <천변풍경(川邊風景)>(1937) 등으로 문명을 떨쳤다. 해방 직후 이태준과 함께 조선문학건설본부에 참여해 소설부 위원을 지냈고 6.25 전쟁 중 월북하여 평양문학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시조시인 조운과 『조선창극집』(1953)을 펴냈다. 익산민란을 그린 역사소설 <계명산천은 밝아오느냐> 1,2부(1963~1964)를 발표했다. 북한 역사소설의 대표작이라 할 <갑오농민전쟁>(전 3부, 1977~1986)을 창작하였다. 집필 중 실명 위기에 놓이자 아내 권영희에게 구술을 받아 적게 해서 제3부를 세상에 내놓았다. 소설에선 오상민 오수동 부자를 통해 1894년 농민전쟁의 전 과정을 진실하게 그려냈다. 특히 구한말 세태와 서울말 재현이 탁월하고 문장을 자유자재로 구사하였다.
관련어
역사소설
동의어
朴泰遠
,
泊太苑
,
丘甫
,
仇甫
,
九甫
관련연구(남)
방민호 엮음, 『박태원 문학 연구의 재인식』, 서울: 예옥, 2010.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이미지
박태원
박태원2
박태원3
이미지명 : 박태원
이미지명 : 박태원2
이미지명 : 박태원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