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An Jung Gun Shoots Ito Hirobumi]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 예술영화
9분류 작품
집필자 이명자
시기1979년
제작자엄길선 연출,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백두산창작단
정의
안중근의 역사적 의거를 바탕으로 제작한 반제국주의 영화이다.
내용

안중근의 항일혁명 의거라는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제작된 영화로, 1894년 갑오개혁부터 안중근이 이등박문을 저격하고 사형당하는 1910년대까지 안중근의 일대기를 담고 있다.
영화는 안중근과 동학란 때 할아버지를 여의고 청일전쟁 때 아버지를 잃었다는 가상의 인물 김명국의 만남으로 시작한다. 김명국의 가족사는 근대를 통과해온 민중들의 역사로, 영화는 안중근에 버금가게 김명국을 주요인물로 등장시킨다. 영화는 안중근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을 다큐멘터리처럼 따라가며 그의 일대기를 구축하는데 그 과정에서 국채보상운동, 헤이그 밀사, 국외 의병활동, 이등박문 저격 등 일련의 한반도를 둘러싼 근대적 사건들이 등장한다. 김명국이 외국으로 먼저 떠나자 안중근도 국외에서 싸울 결심을 하는 등 평범한 민중 김명국이 안중근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그리고 있다. 안중근은 감옥에서 죽음을 앞두고서 ‘나를 이끌어줄 그런 영웅, 그런 위인이 없었구나’라고 탄식해 마치 오래전부터 진정한 지도자 김일성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암시를 주고 있다.
북한이 뉴욕과 모스크바에서 열린 남북영화제에 자국을 대표하는 영화로 출품할 만큼 자부심을 표현한 영화 중 한편이다. 북한은 나라와 민족의 자주성을 위하여 투쟁한 한 열혈청년의 형상을 통하여 그가 실패한 피의 교훈은 무엇이며 그 투쟁 과정에서의 승리의 길은 어디에 있었는가에 대한 역사적 물음에 대한 심오한 예술적 대답을 주는 영화라고 평가한다.

관련어 엄길선,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백두산창작단
관련연구(남) 이명자·황혜진, 『70년대 체제이행기의 남북한 비교영화사:지배이데올로기와 영화적 재현사이의 반영과 충돌』, 서울: 영화진흥위원회, 2004.
관련자료(북) 김주명, 「혁명영화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를 보고 사색과 탐구의 결실」, 『조선예술』 , 11호, 1979.
김석형, 「외세의존과 사대주의는 망국의 길이라는 심오한 진리를 밝혀준 불멸의 화폭-혁명영화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에 대하여」, 『조선예술』 , 1호, 1980.
「나라 위해 목숨 바치었건만-예술영화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중에서」, 『조선예술』 , 4호, 1986.
엄길선, 「연출대본(제1부)」, 『조선예술』, 10호, 1979.
엄길선, 「연출대본(제2부)」, 『조선예술』, 11호, 1979.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비디오 및 CD,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평양: 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8.

이미지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이미지명 :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이미지명 :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