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전시가요 [wartime song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가사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수현
정의
전쟁시기에 창작되고 그 시기의 생활과 감정을 반영한 가요작품이다.
내용
전시가요는 6.25 전쟁 중에 만들어진 노래들로 북한의 문학사에도 6.25 전쟁 문학작품으로 기록돼 있을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전시가요는 참전 병사들의 용맹성을 북돋울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투적 내용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6.25 전쟁 중에 만들어진 전시가요는 대략 100여 곡 정도이고 이중 10여 곡은 북한의 음악사에도 대표적인 전시가요로 기록돼 있다. 최초의 전시가요는 1950년에 나온 조령출의 <조국보위의 노래>로 알려져 있다.
전시가요의 특징은 우선 가사 내용이 호전의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시가요가 호전적인 것은 “전쟁 중의 문학예술은 싸우는 인민들의 수중에서 예리한 무기가 되어야 할 것”이라는 북한의 전쟁문학관에 따른 것이다. 대표적인 전시가요로는 <조국보위의 노래> 외에 석광희의 <격전의 길로>와 <해안포병의 노래>, 조기천의 <문경고개>, 심봉원의 <전호속의 나의노래>, 최로사의 <샘물터에서> 등을 꼽을 수 있다.
전시가요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가사를 쓴 작사자들이 대부분 시인 출신이라는 점이다. 북한에서 전시가요를 통해 명성을 얻은 대표적인 작사자로는 안용만, 석광희, 조령출, 심봉원. 최로사, 정서촌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시인들이다. 북한은 전시가요를 서정시의 한 갈래로 분류하면서 "시적 감성의 함축성, 시적 형상의 세련성, 시적 언어의 통속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서정시의 정수이며 결정체"라고 평가하고 있다.
북한에서 전시가요는 “인민군 장병들과 전체 인민을 위대한 수령님의 두리에 튼튼히 묶어세우고 수령님께서 제시하신 군사전략적 노선들과 작전적 방침들을 관철하는데서 커다란 사상정신적 작용을 놀았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29』,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색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