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교재영화 [movie for teaching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55년 무렵 추정
정의
교수의 직관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만들어진 영화이다.
기원
최초의 과학영화인 <종자의 선택과 관리>가 1955년 제작되었으므로, 최초의 교재영화도 거의 같은 무렵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교재영화의 변천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내용
일반 과학영화도 과학기술문제, 생산과정, 관리방법 등을 취급하기 때문에 교수사업에 보충물로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내용이 교수 내용의 범위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교재영화와는 차별화된다. 반면에 교재영화의 내용은 교수시간에 학생들에게 주어야 할 교수내용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으며, 영화 내용도 강의체계에 따라 서술되고 강의내용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데 이바지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교재영화는 학과목의 한 소제목 내용만 취급할 수도 있고, 그 과목의 전반적 문제들을 다 포괄해서 취급할 수도 있다. 교수시간에 교원이 강의내용과 함께 영화 내용을 학생들에게 설명하며, 설명 도중에 보충적 설명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중학생들을 위한 교재영화로 <물질이 줄고 붇는 성질>, <원심력>, <우리나라 높은 산 식물>,<자동차를 배우자>, <식물의 운동>, 경제관리 일꾼(간부)들을 위한 교재영화로 <석탄관리>, <압축기관리>, <독립채산제>등이 있다. 중학생(중고등학교과정)들을 위한 교재영화의 경우는 과학영화의 또 하나의 갈래인 학교교육영화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교재영화는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거나 이해하기 힘든 과학기술적 내용들과 경제관리 지식 등을 다양한 영화적 수단들을 이용하여 시각화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교수내용을 직관적으로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영화이다. 교재영화는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과학영화의 한 종류로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해당 학과목의 과정안과 교수 요강의 범위 내로 내용이 제한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과학영화와는 구별된다.
관련어 대중과학영화, 학교교육영화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이미지

교재영화

이미지명 : 교재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