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만화영화 [cartoon fil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60년
정의
회화적 수법이나 컴퓨터 화상처리로 그린 그림을 찍어서 만든 아동영화의 한 종류이다
기원
1960년에 첫 만화영화 <금도끼 쇠도끼>, <신기한 복숭아>등을 제작하였다.
변천
서구에서 1900년대에 발생한 만화영화는 초기에는 무성 흑백영화로, 그 후에는 발성 천연색영화로 만들어 지고 있다.
북한은 1950년대 말부터 창작되기 시작한 만화영화가 1970년대에 이르러 근본적인 전환을 이룩하였다고 주장하며, 1990년에 첫 장편만화영화 <호동왕자와 락랑공주>를 제작한다.
조선4.26아동영화촬영소(SEK)는 2D 애니메이션인 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낮은 인건비와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1985년 이후 서구로부터<라이언킹>, <레 미제라블>, <헤라클레스>, <포카혼타스>등 수많은 애니메이션을 수주, OEM(주문자상표부착) 방식으로 수출해 왔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제작 추세가 컴퓨터 그래픽에 기반을 둔 3D 애니메이션으로 바뀌면서 고성능 컴퓨터 기자재와 제작 기술이 없는 북한은 한 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었다. 그러다가 북한의 삼천리총회사 주도로 남한의 하나로통신과 3D 애니메이션<게으른 고양이 딩가>(2001), <뽀롱 뽀롱 뽀로로>(2002)를 잇달아 공동 제작하면서 3D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미 몇 편의 자체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낸 바 있다. 북한은<왕후 심청>(2002) 공동 제작을 계기로 평양미술대학에 애니메이션학과를 창설하고 다른 곳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을 가르치고 있으며, SEK는 오늘날 중국,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 수주한 많은 수의 극장용 만화영화를 제작 생산해 내고 있다.
기타 만화영화(애니메이션) 제작업체로는, 삼천리총회사의 자회사인 삼천리기술회사와 설송합자회사, 평양정보센터 만화영화창작단, 백호무역회사 등이 있다.
내용
만화영화의 주요 형상 대상은 주로 아동들의 생활과 의인화된 동물, 식물, 무생물들이 그려지며, 심지어는 창작가들의 환상에 의한 가상적인 물체까지도 그려진다.
만화영화 그림의 특징은 미술가는 인물과 사물 현상들의 본질적 특성들을 아동들의 나이와 심리적 특성에 맞게, 그리고 만화적 특성에 맞게 간결한 선과 색으로, 움직임을 통하여 그려낸다는 점에 있다. 만화영화는 인물이나 사물 현상을 묘사할 때 생략과 함축, 축소와 확대, 과장과 같은 수법들을 널리 이용하며, 의인화 수법과 환상의 수법도 널리 쓰인다. 이러한 수법들은 어디까지나 사물 현상의 본질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사실주의적 원칙에서 쓰며, 특히 아동들의 심리적 특성에 맞게 쓴다.
만화영화(그림영화)는 인형영화, 지형영화와 함께 아동영화를 구성하는 한 종류로 간주되며, 풍자만화영화(낡고 반동적인 것을 날카롭게 폭로 규탄하는 내용), 경희극만화영화(가벼운 웃음 속에서 부정을 비판하고 교양하는 내용)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긍정을 내세우고 그들의 아름다운 행위를 칭찬하는 형식의 만화영화도 있다. 묘사대상이나 교육학 목적에 따라 과학환상만화영화를 따로 설정하기도 한다.
만화영화는 1초 동안 촬영기가 찍는 것만큼의 그림, 즉 움직임이 조금씩 다른 그림 24매를 그려야 하므로, 1권(보통 270m)짜리 만화영화를 만들자면 적어도 1만매 이상의 그림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그려진 그림을 다시 배경그림과 합성하여 단매 촬영방법으로 찍고, 촬영된 필름은 영화편집을 거쳐 연이어 움직이는 영상으로 되며, 여기에 배우의 대사와 음악과 효과음이 주어져 완성된 만화영화가 된다. 근래에는 만화영화 제작에 2차원(2D), 3차원(3D)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많은 공정들을 컴퓨터 화상처리함으로써 제작에 따르는 노력과 품이 많이 절감되고 있다. 만화영화 제작에 있어 남한과 일본은 1초에 7컷을 찍는 반면, 북한은 12컷 이상을 찍는 풀컷(Full Cut)을 사용하고 있어 영상이 무척 부드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학예술대사전(DVD)』(2006)에서 “우리의 만화영화는 그 높은 사상성과 고상한 예술성으로 하여 아동들을 주체형의 혁명가로 고양하는데 적극 이바지하고 있다. 우리의 만화영화들은 그 주제사상적 내용이 풍부할 뿐 아니라 그 형식이 또한 매우 다양하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어린이들의 나이와 심리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만화영화들을 수없이 창작함으로써 아동들의 지덕체 교양에 힘 있게 이바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본보기 사례로 김일성이 항일혁명투쟁시기에 들려주었다는<나비와 수탉>, <두 장수 이야기>, 김정일이 들려주었다는<호랑이를 이긴 고슴도치>를 비롯, <흥겨운 들판>, <사슴과 호랑이>, <영남이의 숙제장>, <세 짐승에 대한 이야기>, <너구리의 높이재기>, 다부작(연속물)인 <다람이와 고슴도치>, <날개달린 룡마>등을 제시하고 있다.
오늘날 북한은 우수하면서도 인건비가 싼 인력자원을 바탕으로 큰 시설 투자 없이도 외화벌이가 가능한 만화영화(애니메이션)의 수주 제작에 큰 힘을 쏟고 있다.
동의어 그림영화
관련연구(남) 전영선, 『북한 애니메이션(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정보』, 서울: 선인, 2014.
전영선·김영숙, 「북한 아동교육정책과 아동영화 창작원칙 연구」, 서울, 남북문화예술연구, 8집, 2011.
김영숙, 「북한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 교양사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9.
채수정, 「북한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8.
서정남, 「북한 아동영화에서 전래동화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서울, 계명대,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물, 2007.
서정남, 「애니메이션을 통해 본 북한 아동문화의 이해」, 『통일논총 18, 12호, 2000.
장용훈, 「북한의 만화영화」, 『한국인, 18집 제9호, 1999.
장미진, 『북한의 아동영화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지적 교양주제의 아동영화문학 창작에서 종자탐구」, 『조선예술』, 8호, 1999.
「과학아동영화의 주체적 발전의 길에 새겨진 빛나는 업적」, 『조선영화』, 1호, 1995.
「주체적 과학아동영화의 발전에서 빛나게 향도한 불멸의 기치」, 『조선영화』, 11호, 1994.
「아동영화의 사상예술적 수준을 높여준 빛나는 향도」, 『조선영화』, 8호월, 1994.
「과학아동영화 발전의 빛나는 년대기」, 『조선영화』, 7호, 1992.
「우리식 다부작 아동영화의 독특한 면모」, 『조선영화』, 6호, 1991.
「새 세대의 계급교양과 아동영화 창작」, 『조선예술』, 3호, 1970.
참고자료 김용범·신현욱, 『북한의 문예이론과 문화콘텐츠 인프라』, 서울: 한양대출판부, 20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예술단체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편, 『문예연감』,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2~2013.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이미지

만화영화1

이미지명 : 만화영화1

만화영화2

이미지명 : 만화영화2

만화영화3

이미지명 : 만화영화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