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분배장단 [division rhyth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천현식
시기1958년
정의
무용 〈분배받는 기쁨〉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장단이다.
용례/관용구
“분배장단은 무용 <분배받는 기쁨>을 창조하는 과정에 새롭게 개척된 리듬투로서 장단명칭도 작품명칭을 따서 부르게 되였다.”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1989.
기원
1958년 국립무용극장이 창작한 2인무 <분배받는 기쁨>을 만들면서 새롭게 만든 장단으로, 이름도 작품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내용
이 장단은 12/8박자 한 마디이며 속도 ♩.= 90의 보통 속도보다 약간 빠른 덩덕궁 장단의 보조장단 중 하나이다. 보조장단은 속도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리듬이 변화되어 독자적인 장단을 구성하는 것을 가리킨다. 분배장단도 12/8박자를 한 마디로 하지만 ♩.= 180의 속도를 갖는다. 장단 가운데 가장 빠른 휘모리장단의 속도와 같고 억양적 특징도 비슷해서 일명 휘모리·덩덕궁 섞음장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덩덕궁 장단의 보조장단이면서 휘모리 장단과 합쳐진 섞음장단의 성격도 갖고 있다.
12/8박자 한 마디로 이용되기도 하고 12/8박자 2마디로 집을 이뤄 이용되기도 한다. 속도가 매우 빠른 이 장단은 진취적이고 박력이 있어서 혁명적인 사회주의 현실생활을 반영한 무용작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 장단이 처음 만들어진 것도 1958년 국립무용극장이 창작한 2인무 <분배받는 기쁨>(안무 김락영)에서였다. 이 작품은 3장 구성으로 사회주의 농촌에서 일하는 농민들이 만풍년을 맞은 기쁨을 형상한 춤이다. 주로 분배장단의 음악으로 일관되어 있다.
이 장단은 박자나 리듬꼴은 3박자 4박자계(12/8, ♩.×4)의 자진모리와 비슷하나 빠르기는 2박자 4박자계(4/4, ♩×4)의 휘모리와 같다. 그러니까 휘모리의 빠르기를 갖는 자진모리풍의 변형장단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어 분배받는 기쁨, 덩덕궁장단, 자진모리장단, 휘모리장단, 보조장단
참고자료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89.
삼일포정보센터, 『전자사전프로그람 《조선대백과사전》』,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2005.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이미지

분배장단

이미지명 : 분배장단

분배장단2

이미지명 : 분배장단2

분배장단3

이미지명 : 분배장단3

분배장단4

이미지명 : 분배장단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