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영화노래 1100곡집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공통
9분류 작품
집필자 천현식
시기1993년 5월 7일
제작자문학예술종합출판사
정의
문학예술종합출판사 편집부에서 영화노래 가운데 1100곡을 골라 만든 악보집이다.
용례/관용구
문학예술혁명을 수행하여오는 보람찬 나날에 창작된 영화노래가운데서 선곡하여 《영화노래 1,100곡집》을 출판한다. 『영화노래 1100곡집』, 1993.
내용
이 단행본은 현재까지 확인되는 영화노래 악보집 가운데 가장 많은 1100곡이 수록되어 있다. 책제목과 같이 영화를 기준으로 단선율의 가요들 1,100곡이 가사와 함께 실려 있다.
악보집은 편집부의 머리말에 이어 영화의 종류를 기준으로 크게 5개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첫째, 김일성이나 김정일이 지었다고 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을 각색한 영화 <피바다>, <꽃파는 처녀>,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와 함께 다부작 예술영화 “민족과 운명”이 첫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둘째, 예술영화의 노래들이 1949년부터 연도별로 개별 영화당 1곡에서 5곡 정도씩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셋째, 기록영화(1968년부터)의 노래, 넷째, 아동영화(1968년부터)의 노래, 다섯째, 과학영화(1969년부터)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끝으로는 ‘영화제목 찾아보기’가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위 노래들 중 가장 많으며 대부분을 차지하는 곡들은 예술영화의 노래들이며, 다음으로는 아동영화의 노래가 많다. 기록영화와 과학영화들은 20~30곡 정도가 실려 있다.
북한 문학예술의 최전성기라고 하는 1970년대를 연 분야가 바로 영화이다. 이른바 문학예술혁명은 1969년 영화 <피바다>를 만들면서 시작된 영화예술 혁명부터였다. 또한 김정일이 지었다고 하는 문학예술분야의 첫 대표 저작 또한 영화분야이다. 그 제목은 『영화예술론』 (1973)으로, 이후 문학예술혁명의 기본 교과서 역할을 하였다. 이렇듯 북한의 문학예술 분야에서 영화분야는 매우 중요하다. 1970년대 북한의 문학예술혁명을 이끈 김정일은 영화에서 음악의 역할을 특히 강조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와 노래의 결합이 북한 문학예술에서는 중요하게 다뤄진다. 이러한 영화분야의 대표적 영화노래들이 1993년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망라되어 있다는 점에 이 책의 의의가 있다.
관련자료(북) 김정일, 「영화예술론, 1973년 4월 11일」, 『김정일선집3, 197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북조선음악동맹 엮음, 『조쏘가곡 100곡집』, 평양: 북조선음악동맹, 1949.
문예출판사 편, 『조선명곡 600곡집』, 평양: 문예출판사, 1977.
음악도서편집부 편, 『조선가요 2000곡집』,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조선노래대전집》 편집위원회, 『조선노래대전집』,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2.
조선콤퓨터쎈터 삼지연정보쎈터, 『조선노래대전집 삼일포 2.0(CD)』,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4.
참고자료 문학예술종합출판사 편, 『영화노래 1100곡집』,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3.